전공의·의대생 이탈부터 의사국시 혼란까지
갈등 봉합 분위기 속에서도 당면과제 여전








지난해 의대증원 2000명으로 촉발돼 12월 비상계엄으로 최고조에 이르렀던 의정갈등이 1년 6개월째 계속되고 있지만, 최근 변화를 맞고있다.
지난 6월 정권교체로 이재명 정부가 들어서고, 7월 의사 출신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이 취임하면서 ‘의정 신뢰회복’이 전면에 부상했으며, 의대생 복귀 선언과 전공의의 수련병원 복귀 움직임 등 실질적인 갈등봉합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누구도 신뢰 회복이 즉각 ‘행복한 엔딩’으로 이어진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신뢰는 본격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최소한의 전제로, 본격적인 ‘의료정상화’는 출발선에 서지도 못 한 것이다.
의정사태는 단순한 사회적 충돌을 넘어, 현행 의료제도의 근본적 문제를 드러낸 만큼, 이번 정책 재설계가 향후 의료계 뿐 아니라 국민 건강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의학신문은 의료계에 당면한 과제를 살펴보는 한편, 전공의·의대생부터 의대교수, 의료기관까지 의정사태의 의료계 당사자들로부터 '뉴노멀(New Normal)'에 대한 목소리를 폭넓게 들어본다.
<글 싣는 순서>
①출구 보이는 의정사태, 남은 과제는?
숫자로 본 ‘의정사태 1년 6개월’
②'미래'라 불리는 젊은 의사, 문제는 현재진행형
③'의정사태 또다른 주인공'이 바라본 숙제들
④인력부터 경영까지 변화의 발판에서
⑤달라진 의료환경 속 병·의원을 바라보는 시선
⑥의-정 '폭삭속았수다' 하지만 이제 부터 시작이다
의대 정원 확대를 둘러싼 정부와 의료계의 갈등이 1년 6개월 넘게 이어지며, 한국 사회 전반에 깊은 파장을 일으켰다.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 발표로 시작된 이번 사태는 △전공의 집단 사직 △의대생 대규모 휴학 △의료 공백 △교육 파행 등으로 확산되며, 의료 체계와 정책 신뢰에 심각한 균열을 초래했다.
최근 의료계가 복귀 의사를 밝히며 사태는 진정 국면에 접어드는 듯하지만, 교육 정상화와 제도 개혁이라는 본질적 과제는 여전히 남아 있다.
다시 출발점에 서 있는 ‘의정 사태’를 주요 숫자 키워드로 들여다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