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개혁특위 인력전문위 6차 회의…의대 통합 6년 연계 등도
[의학신문·일간보사=이승덕 기자]의개특위가 전공의에게 상급종병 이외의 지역의료·공공의료·일차의료 등 수련 기회 제공 방안을 모색했다.
노연홍 의료개혁특위 위원장
정부는 2일 오후 의료개혁특별위원회 산하 ‘의료인력 전문위원회(위원장 윤석준) 제6차 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개최된 회의에서는 △다기관 협력 수련체계 도입 방안 △의과대학 통합 6년제 개편에 따른 수련체계와의 연계 강화 방안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다기관 협력 수련체계 도입 방안’ 안건에서는, 전공의에게 상급종합병원 진료뿐 아니라 지역의료, 공공의료, 전문진료, 일차의료, 의과학 등 다양한 기관에서의 수련 기회 제공 필요성에 대해 논의했다.
특히, 향후 상급종병 구조 전환을 통해 상급종합병원에서는 중등도 이하의 환자를 줄이고 중증·응급·희귀 질환을 중점적으로 진료하는 만큼, 전공의의 다양한 중증도 경험을 위해 다양한 기관에서 수련을 받을 수 있는 협력체계가 필요하다는 것에 대해 의견이 모아졌다.
이에 더해 △기관 간 협력 수련체계 형성 방안 △참여기관 및 전공의 지원방안 △책임 지도전문의의 역할 강화 및 지원방안 △전문과목별 특성 고려 필요성 등 다양한 의견이 제시됐다.
또한 ‘의과대학 통합 6년제 개편에 따른 수련체계와의 연계 강화 방안’ 안건에서는, 2025년부터 적용되는 의대 6년제 개편과 연계해 의과대학 교육과정에서 진로 탐색 및 실습 강화, 공공·지역의료 체험 등 향후 인턴제와 연계해 내실화된 수련을 받을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가 이뤄졌다.
의료개혁특위 노연홍 위원장은 “전공의 중 약 71%(`23)는 상급종합병원에서 수련을 받지만, 전문의 자격을 취득한 의사 중 약 60%(`22)는 지역 중소병원 또는 의원급에서 근무하는 것이 현실”이라며 “타 기관에서의 수련 경험을 통해 다양한 임상 역량을 배움으로써 본인 진로에 맞는 적절한 수련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각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