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소아진료체계 지역협체계 구축 시범사업 참여기관 모집
지역협력체계 지원금 2억중 70% 선지급하고 30% 차등지급…19일까지 신청접수
[의학신문·일간보사=이승덕 기자]복지부가 소아진료 지역협력체계를 구축할 의료기관을 모집한다.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28일 ‘소아진료 지역협력체계 구축 시범사업’ 참여 진료협력체계 공모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시범사업은 지역 특성을 반영한 진료 협력체계를 구축·운영하고, 지역 내 소아 환자의 신속한 연계, 협력체계 활성화를 위한 협력대응 및 의료이용 정보 제공 등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진료협력체계는 중심기관 1개소, 참여 소아청소년과 병·의원 5개소 이상, 상급종합병원 등 배후병원 및 야간·휴일 등 소아 조제 역량을 갖춘 약국 1개소 이상으로 구성한다.
진료협력체계의 진료권은 시군구를 기반으로 중심기관이 지역적 특성, 교통인프라, 실제 의료이용 등을 고려해 설정하며, 운영모형은 아동병원 중심형과 소아진료 병원 중심형으로 구분한다.
소아진료 인프라 확보 지역은 아동병원 기능 강화로 지역 소아청소년과 병·의원과 배후병원 간 협력을 활성화해 상급종합병원의 응급실 쏠림 해소 등 소아의료전달체계 확립을 목표로 한다.
소아진료 인프라 확충이 필요한 지역은 지역의 소아진료 병원 육성을 통한 진료협력체계 구축으로 지역 안에서 원활한 365일 소아진료가 가능한 진료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선정된 지역 진료협력체계에는 운영 등에 필요한 지원금(협력체계 당 연간 약 2억원)의 70%를 사전지급하고, 운영 성과를 연계해 사후에 차등 지급(최대 30%)한다.
아울러 시범사업 참여 병·의원 대상(배후병원 제외)으로 집중관찰이 필요한 소아를 대상으로 수액요법 및 모니터링과 상담, 치료 후 재평가 등 진료 과정 전반에 대한 통합수가인 ‘소아전문관리료’를 신설한다. 수가는 1세 미만에 의원 5만8000원, 병원 6만3000원을, 1~6세 미만에 의원 4만8000원, 병원 5만3000원을 지급한다.
지역사회 소아환자 외래진료 지원을 통해 지역사회 소아진료를 강화해 상급종합병원 및 응급실 쏠림을 완화하고 진료 접근성도 강화할 계획이다.
소아진료 연계는 소아 환자가 의료기관을 찾아 헤매지 않도록 지역 안에서 신속하게 적정 의료기관으로 의뢰·회송이 가능하도록 의료진 간 직통연락망을 구축하는 내용이다.
또한, 진료의 연속성 확보에 필요한 성장·발달 등 건강정보 및 영유아검진·예방접종 등 진료정보가 공유 가능한 플랫폼을 활용한다.
지역 협력체계 운영 활성화를 위해서는 야간·공휴일 등 365일 협력체계가 운영되는 지역의 소아진료가 제공될 수 있도록 병·의원 간 역할 분담과 협력에 대한 계획을 사전에 수립한다.
또한 중심‧참여기관별 야간·휴일 진료 일정 및 역할 등을 지역주민에게 안내해 협력체계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지방자치단체 등과 협력한다.
시범사업은 오는 8월부터 2년 4개월간 진행되며, 참여 대상 협력체계 선정은 외부전문가 등으로 선정평가단을 구성해 사업계획서 등 서류심사 및 운영계획의 적절성과 실현 가능성 등을 평가해 최종 심의를 한다.
이를 통해 오는 7월까지 시범사업에 참여하게 되는 지역 진료협력체계를 선정할 계획이다.
시범사업에 대한 신청 접수는 오는 7월 5일부터 19일까지 진행되며, 참여 의사가 있는 의료기관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시범사업 자료제출시스템, 우편 또는 방문 접수를 통해 신청할 수 있다.
복지부 권병기 필수의료지원관은 “지역의 소아진료 병원을 중심으로 동네 소아과와 상급종합병원까지 긴밀하게 협력해 의료진의 소진없이 365일 지역 안에서 안심하고 아이들이 진료받을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사업 취지를 설명했다.
이어 “지역별로 당면한 소아진료 현장의 문제를 지역 의료기관 중심의협력체계를 통해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으로, 소아환자를 진료하는 의료기관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한편, 복지부는 오는 7월 3일 14시 서울역 인근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빌딩에서 시범사업 설명회를 개최해 세부사업과 선정평가 등에 대한 설명 및 질의응답을 진행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