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 비대위도 전공의 등 이해당사자 참여한다면 대화 가능
[의학신문·일간보사=이승덕 기자]정부가 의료계 대화협의체를 정부주도로 구성할 수 없다는 입장이며, 구성을 기다리고 있다고 밝혔다.
‘의사 집단행동 중앙사고수습본부’ 전병왕 총괄관<사진>은 2일 중수본 브리핑에서 의료계 협의체에 대한 질의에 이같이 밝혔다.
이날 현장에서는 의사 사회 내부의 이해관계가 복잡하기 때문에 정부에 단일한 의견을 제시하기 어렵다는 지적을 언급하면서 의료현안협의체와 같은 대화기구를 구성할 계획이 있는지 물었다.
전병왕 총괄관은 “정부는 언제든지 대화할 수 있다, 문이 열려 있다는 말씀을 계속 드려 왔고, 그런 노력들을 계속해 왔다”면서도 “전체 의료계를 대변할 수 있는 그런 조직 또는 그런 모임이 없기 때문에 여러 이 의료계를 대표할 수 있거나 또 중재할 수 있는 이런 분들을 만났다”고 경과를 설명했다.
이어 “가능하면 일부 비대위 쪽에서는 의료계에서의 통일된 안도 만들 수 있다는 말도 한 걸로 들었다. 그래서 정부가 억지로 구성을 하면 무리가 따를 수 있기 때문에 일단은 대화를 할 수 있다, 열려 있다는 말을 드린다”고 언급했다.
전 총괄관은 “대화의 장으로 의료계를, 지금 이 상황을 대변하면서 얘기할 수 있는 그런 것을 만들어서 오면 언제든지 대화를 할 수 있도록 그렇게 하겠다”고 말했다.
의료계가 대한의사협회 비대위의 의료계 대표성을 인정하는 상황에서 별도의 협의체 만들어야할 지 묻는 질의에는 광범위한 참여가 필요하다는 입장이었다.
전병왕 총괄관은 “기존에 그런 역할을 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기 때문에 정부는 다양한 통로를 통해서 대화의 노력을 해왔던 것”이라며 “그런 부분이 새로운 의협의 비대위를 통해서 전공의도 참여하고, 다른 이해당사자들도 참여해서 의료계를 대변할 수 있는 상황이라면 대화를 굳이 못 할 이유가 없다고 생각한다”고 답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