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협 박단 위원장 “정치인에 편승 아닌 제자의 마음 헤아리는 게 우선”
전의교협, “협의체 전공의‧학생 의견 반영될 수 있는 의료계 단체 구성돼야”
[의학신문·일간보사=정광성 기자] 의학회‧KAMC의 여야의정협의체 참여에, 전공의 대표가 교수들에게 제자들의 마음을 헤아려달라는 의견을 피력한 가운데 일부 교수단체가 협의체 참여를 유보하는 결정을 내렸다.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 박단 위원장은 지난 23일 개인 SNS를 통해 대한의학회‧KAMC의 여야의정합의체 참여를 두고 “정치인들에게 편승할 것이 아니라 제자들의 마음을 헤아리는 것이 우선”이라며 “교수님들의 결정이 정말 사태 해결에 도움이 될지 혹여 제자들과 멀어지는 길은 아닐지 다시 한번 숙고하길 바란다”고 부탁했다.
지난 22일 의학회‧KAMC는 ▲의대생 휴학계 허가 ▲2025년 및 2026년 의대 입학정원 논의, 의사정원 추계 기구 입법화 구체적 시행계획·로드맵 설정 ▲의대생 교육, 전공의 수련기관의 자율성 존중 및 교육·수련 내실화▲한국의학교육평가원(의평원)의 독립성·자율성 확보 ▲의료개혁특별위원회의 투명하고 합리적 정책결정 등을 전제로 협의체 참여의사를 밝힌 바 있다.
반면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는 박단 위원장의 협의체 참여에 대한 숙고 요청 이후, 긴급총회를 열고, 결정을 유보한 것.
전의교협은 “협의체는 전공의와 학생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는 의료계 단체로 구성돼야 한다”며 “정부도 의료대란을 촉발한 당사자가 아닌 문제 해결에 적합한 인사가 참여해야 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다만 전의교협은 대한의사협회와 마찬가지로, 불참의사와 더불어 의학회‧KAMC의 참여 결정을 존중한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이어 박단 위원장은 최근 전공의단체의 대표성을 두고 불거진 논쟁에 대해 “대표성을 일부러 주장할 생각은 없다. 저의 지위와 역할이 무엇일지 그 판단과 결정은 각자 알아서 할 일”이라며 “다만 대전협은 여전히 존재하며, 저 역시 위원장으로서 사직 전공의들의 권익보호를 위해 마저 최선을 다하려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한의사협회 임진수 기획이사도 게시글에 댓글을 달아 입장을 밝혔다. 임 이사는 “저 역시 대표성을 주장할 생각은 없다”며 “각자 제 위치에서 자발적인 사직을 한 전공의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의료계의 미래를 위해 노력하면 될 것”이라고 답했다.
또한 그는 “누가 결과를 얻냐보다는 의료계가 원하는 결과를 얻어오는 것이 중요하다”며 “그런 점에서 대화에 나서지 않는 것이 늘 아쉬운 부분이었다. 의료계 내부에서 원치않는 결과를 받아오고자 야합하려는 사람은 없을 것이고, 책임을 떠넘기려 내부 정쟁에만 골몰하는 사람이 득세하는 결과 역시 원치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며칠 전 박단 위원장은 SNS를 통해 “대한의사협회가 사직 전공의 모 이사를 통해 새로운 전공의 단체, 즉 괴뢰 집단을 세우려던 정황 역시 여기저기서 확인된다”고 비판한 바 있다.
이처럼 의료계 내부에서 합의체 참여를 둘러싸고 논쟁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교육부가 협의체 참여 전제조건에 대해 불가 입장을 밝히며, 의학회‧KAMC의 협의체 참여에 먹구름이 끼고 있다.
교육부는 입장문을 통해 의대생 동맹 휴학 승인은 현재 대입 수시 전형이 진행 중인 상황에서 2025학년도 의대 정원의 조정은 법령상 불가능하고, 의평원 자율성 보장과 관련해서 평가인증의 공정성·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도적 미비점은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이다.
의료계 내부에서도 협의체 참여에 반발이 나오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의 전향적인 결정 없이는 여야의정합의체 시작은 요원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