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상급종병 구조전환 ·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 의지 거듭 피력

[의학신문·일간보사=이승덕 기자]정부가 전공의에 대한 복귀와 대화 의지를 거듭 표명했지만, 수련환경 개선은 대화성사와 별개로 추진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의료개혁추진단 정경실 단장<사진>은 6일 ‘의료개혁 추진현황 브리핑’ 질의응답을 통해 이 같은 입장을 밝혔다.

정 단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의료개혁특별위원회에서 논의중인 ‘상급종합병원 구조전환’ 방향을 소개하며 전문인력 중심병원 내용을 함께 언급하면서 “전공의 공백 장기화로 전문의 배출 시점이 일부 연기될 경우 전문인력 중심병원 전환이 이뤄질 수 있을 지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고 상황을 설명했다.

이에 “상급종병이 기존처럼 진료량 확장에 의존하고, 비중증 환자도 많이 진료하는 체계 하에서 전문인력 중심병원 전환은 어렵다”며 “비중증진료를 줄이고 중증진료 중심으로 진료구조를 새롭게 전환하며 전문인력 중심으로 업무를 재설계하면 충분히 가능하다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이를 위해 상급종병 구조전환에서 전공의가 담당했던 업무를 전문의와 진료지원간호사가 담당할 수 있도록 병원 자체적인 훈련 프로그램 도입과 업무 효율화 과정을 적극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정경실 단장은 전공의 미복귀에 대해 묻는 질의에 “전공의가 복귀하지 않으면 전문의 배출에 일부 차질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인정한다”며 “전문의들도 소진으로 인해 이탈하고 있다는 현장의 목소리도 듣고 있다. 이 부분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 상급종병 구조전환”이라고 답변했다.

또한 “전공의들이 대화에 응하지 않는다고해서 전공의 수련체계 개편이라는 중요 과제를 논의하지 않을 수는 없다”며 “전공의들이 수련하는 여건을 제대로 만들어나가야 전공의들이 현장에 복귀했을 때 현재같이 소진되는 구조, 병원에 근무하면서도 근로자로서 주로 역할하고 수련은 제대로 못 받는 악순환의 고리를 깰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전공의들이 빨리 대화에 응해주길 바라지만, 대화에 응하기 전이라도 현장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 수련체계를 계속 만들어 나가겠다”고 정리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