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 대상 투표 결과 73.6% "휴진 중단 후 지속가능한 저항 전환" 응답
비대위 "정부는 여전히 불통이지만 장기화시 환자피해 등 외면 어렵다"
지속 가능한 저항으로 전환 후 위협 커질 시 다시 행동 나서겠다 강조

[의학신문·일간보사=이재원 기자] 서울의대 및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무기한 휴진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정부는 여전히 불통이지만 장기화시 중증환자 피해와 국민들의 목소리를 외면하기는 어려웠다고 이유를 밝혔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서울대학교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향후 활동 방향 관련해 4개 병원(서울대학교병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강남센터)의 전체 교수 대상 투표를 20일과 21일 사이에 진행했다.

투표 결과 전체 응답자 948명 중 698명(73.6%)이 휴진을 중단하고 ‘지속 가능한 방식의 저항’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답했다. 휴진을 지속해야 한다는 의견은 192명(20.3%)이었다.

구체적인 활동 방식을 묻는 질문에 대해, 75.4%가 ‘정책 수립 과정 감시와 비판, 대안 제시’가 필요하다고 동의했으며, 55.4%가 범의료계와의 연대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이외에도 65.6%의 교수들이 환자와 의료진의 안전을 고려해 지속 가능한 적정 수준으로 근무시간을 조정해야 한다고 답했다.

비대위는 "전면 휴진 결의 이후 정부는 전공의 처분 움직임을 멈추는 등 유화적 태도 변화를 보였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불법 행위에 대한 엄정 대처 방침을 발표하고 의협 해체 발언을 하는 등 여전히 의료계를 향해 으름장을 놓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전면 휴진 기간에도 미룰 수 없는 중증, 난치, 응급 환자에 대한 진료는 유지해 왔으나, 서울대병원 특성상 현 상황이 장기화 되었을 때는 진료 유지 중인 중증 환자에게도 실제적인 피해가 생길 수 있다"며 "의료 대란 속에서 환자 곁을 지켜왔고 휴진 기간에도 꼭 봐야 할 환자를 선별하고 진료해온 우리 교수들이 가장 걱정하는 점"이라고 밝혔다.

특히 국회 복지위가 환자 피해를 우려해 간곡한 당부를 줬던 점과, 직접 만났던 환우회와 소비자단체도 같은 마음을 전한 것을 고려했다고 비대위는 언급했다.

비대위는 "정부는 불통이지만 우리는 국민의 목소리를 외면할 수 없다. 우리가 전면 휴진을 중단하는 이유는 당장 지금 발생할 수 있는 환자의 피해를 그대로 둘 수 없어서"라며 "무능한 불통 정부의 설익은 정책을 받아들여서가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어 "앞으로 닥칠 의료계와 교육계의 혼란과 붕괴의 책임은 전적으로 정부에 있다. 우리는 저항을 계속할 것이며, 정부의 무책임한 결정으로 국민 건강권에 미치는 위협이 커진다면 다시 적극적인 행동을 결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