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5년 전 대비 약 9배 증가…소아·고령층 빈발
비타민D 결핍증 진료환자 급증
심평원, '햇빛 부족' 원인…야외활동 통해 일광욕 필요
햇빛 노출이 부족한 현대인에게 '비타민D결핍증' 환자가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강윤구)이 최근 5년간(2007∼2011년)의 심사결정자료를 이용해 '비타민D결핍증'에 대해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총 진료인원은 2007년 약 1800명에서 2011년 약 1만6000명으로 5년간 약 816.3%(1만5000명) 급증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81.2%로 파악됐다.
이로 인한 총진료비는 같은 기간 약 2억8000만원에서 약 21억1000만원으로 5년간 약 18억3000만원이 증가(644.1%)했, 연평균 증가율은 68.8%에 달했다. <표 참조>
성별로 분석한 결과, 남성 진료인원은 같은 기간 613명에서 4140명으로 약 3527명이 증가(575.4%)했으며, 여성은 1202명에서 1만2490명으로 약 939.1%(1만1288명)이 급증했다. 여성의 성비가 매년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며(2007년 2배→2011년 3배) 연평균 증가율도 여성이 약 18% 더 높게(남성 68.5%, 여성 86.8%) 나타났다.
연령별(10세구간) 점유율은 최근 5년에 걸쳐 비타민D결핍증 진료인원의 연령구조가 소아에서 고령층으로 바뀌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주 발생연령층은 0∼9세와 50대 이상으로, 이 구간의 점유율은 2007년 65.9%에서 2011년 66.7%로 큰 차이가 없었다.
0∼9세와 50대 이상을 구분해서 살펴보면 추세의 변화가 눈에 띄게 나타난다. 비타민D결핍증 진료인원 중 0∼9세의 소아·아동 점유율은 2007년 34.5%에서 2011년 17.6%로 감소했고, 50대이상의 장년·고령층의 점유율은 같은 기간 31.4%에서 49.1%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0∼9세의 증가분 보다 50대이상의 진료인원 증가분이 훨씬 많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2007년과 2011년 진료인원을 비교한 결과, 0∼9세는 약 4.7배 증가한 반면, 50대는 11.5배, 60대이상은 17.3배 증가했다.
한편 비타민D결핍증은 비타민D가 부족해 성장 장애 또는 뼈의 변형이 생기는 질환으로, '구루병' 또는 '골연화증'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칼슘과 인의 대사를 좌우하는 호르몬으로, 비타민D가 부족하면 칼슘과 인의 혈액 내 농도가 충분히 높아지지 못해 뼈에 축적되지 못함으로써 골격이 약해지고, 결국 몸에 부하되는 압력을 견디지 못해 뼈가 휘게 된다.
최근 비타민D결핍증이 늘어나는 원인으로는 학업, 직장생활 등으로 인해 모든 연령에서 햇빛이 있는 낮 시간의 야외활동이 크게 줄고 있기 때문이며, 특히 여성의 경우 자외선 차단 크림 등의 남용으로 인해 피부에 닿는 햇빛을 차단하는 일이 많아지고 있는 것도 주원인으로 작용한다는 게 심평원 측 판단이다.
심평원 관계자는 "비타민D결핍증을 예방하기 위해선 평소 생활 속에서 비타민D를 적당하게 유지시켜 주려는 노력을 하면 된다"며, "특히, 모유수유를 하는 여성은 비타민D가 부족하면 그 아기도 비타민D가 부족하게 되므로 여성 본인이 균형잡힌 음식물 섭취를 통해 모유에 충분한 비타민D가 들어있을 수 있게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비타민D결핍증' 진료인원 및 진료비 현황(2007~2011년)>
구 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
진료인원 (명) | 계 | 1,815 | 1,949 | 3,982 | 7,034 | 16,630 |
남 | 613 | 627 | 1,180 | 1,782 | 4,140 | |
여 | 1,202 | 1,322 | 2,802 | 5,252 | 12,490 | |
총진료비 (천원) | 계 | 284,282 | 428,427 | 763,162 | 959,234 | 2,115,400 |
남 | 116,572 | 229,908 | 396,735 | 443,682 | 772,859 | |
여 | 167,710 | 198,519 | 366,427 | 515,552 | 1,342,541 | |
홍성익 기자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