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타민 D 부족, 젊은층에도 심각한 건강문제
한국인 비타민 D 부족실태와 보충요법 대상
현대 사회에서 많은 사람들이 도시에서 생활하고 대부분의 시간을 주로 실내에서 보내면서 피부에서의 비타민 D 합성을 위한 충분한 햇빛을 쬐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비타민 D 부족은 현대사회의 중요한 건강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미국의 국민건강영양조사인‘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를 분석한 결과 혈청 비타민 D 농도의 지표인 25(OH)D는 1988-1994년 30ng/mL에서 2001-2004년 24ng/mL로 감소하였다. 또한 혈청 25(OH)D의 농도가 10ng/ml 미만인 비타민 D 결핍의 유병률은 2%에서 6%로 증가하였으며, 30ng/mL 이상으로 비타민 D가 충분한 경우는 45%에서 23%로 감소하였다.
우리나라의 비타민 D 부족 역시 매우 흔한 것으로 나타나는데, 한국인 폐경 후 골다공증 여성 101명을 포함하여 18개 국가에서 시행된 국제 역학연구를 보면 한국인 여성의 평균 혈청 25(OH)D는 17.6ng/mL로 가장 낮았으며, 혈청 25(OH)D가 30ng/mL 이하인 경우는 92.1%로 가장 많았다. 본 저자 등은 2008년도에 시행된 우리나라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한국인의 비타민 D 영양상태를 조사하였다. 우리나라의 총 16개 행정구역에서 10세 이상의 남성 3047명, 여성 3878명을 대상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남성이 42.4±19.6세(10-91세), 여성이 45.0±19.3세(10-93세)였다. 평균 혈청 25(OH)D의 농도는 남성에서 21.2±7.5ng/mL, 여성에서 18.2±7.1ng/mL였다. 남성의 47.3%, 여성의 64.5%에서 혈청 25(OH)D 농도 20ng/mL 미만으로 비타민 D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혈청 25(OH)D 농도가 30ng/mL 이상인 경우는 남성의 13.2%, 여성의 6.7% 밖에 되지 않았다. 연령에 따른 비타민 D 농도의 변화는 <도표 1>에 제시되었는데, 혈청 25(OH)D 농도는 20대에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으며, 20대부터 증가하여 60대에 가장 높았고, 이후 다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혈청 25(OH)D 농도(<10, 10-20, 20-30, ≥30ng/mL)에 따른 대상자의 분포는 <도표 2>에 제시되었는데, 혈청 25(OH)D 농도 20ng/mL 미만인 비타민 D 부족의 유병률은 남녀 모두 20대에서 가장 높았으며, 20대부터 감소하여 남성에서는 60대, 여성에서는 50대에서 비타민 D 부족이 가장 적었고 이후 다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20대 이상의 성인에서 직업에 따른 비타민 D 부족의 유병률을 조사한 결과를 <도표 3>에 제시하였다. 주로 실외에서 일하고 햇빛을 더 많이 쬐는 직업, 즉 농림어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비타민 D 부족 유병률은 가장 낮았는데 남성에서 19.7%, 여성에서 34.9%였다. 반면 사무직 등 주로 실내에서 일하는 직업의 경우 비타민 D 부족의 유병률이 더 높았다.
![]() |
<도표 1> 연령에 따른 비타민 D 농도 변화 |
![]() |
<도표 2> 혈청 25(OH)D 농도에 따른 대상자 분포 |
![]() |
<도표 3> 비타민 D 부족 유병률 조사결과 |
흥미롭게도 학생들의 비타민 D 부족이 높았는데 남학생의 경우 69.1%, 여학생의 경우 75.8%가 비타민 D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비타민 D 부족의 독립적인 예측 인자를 분석한 결과 20-40대의 젊은 나이, 봄과 겨울의 계절적 요인, 도시지역 거주, 실내에서 일하는 직업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노령을 비타민 D 부족의 위험 요인으로 제시한 기존의 연구와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비타민 D 부족이 더 이상 노령 층만의 문제가 아니라 젊은 층에도 매우 심각한 건강 문제로 대두되었음을 보여준다.
우리나라에서 비타민 D 부족이 젊은 층에서 많은 이유는 젊은 층이 주로 실내에서 일하는 직업을 선호하고, 평소 생활방식이 실내 위주로 되어 햇빛에 노출되는 시간이 적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비타민 D 보충은 골다공증과 골절의 위험이 높은 노령 층뿐 아니라 충분한 골량 형성이 요구되는 젊은 층에서도 꼭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도시지역 거주나 실내에서 일하는 직업 등 햇빛을 통한 비타민 D 형성이 어려운 요인이 있는 경우 더욱 비타민 D 보충요법의 대상이 될 것이며, 특히 햇빛이 약한 봄과 겨울철에는 비타민 D 보충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 최한석 동국대학교 일산병원 내분비내과 교수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