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액 알레르기(Allergy)

액 알레르기는 정액 속에 있는 단백질이 문제를 일으키는 것으로, 남편의 몸에 있는 단백질이 아내에게 맞지 않는 것이다. 많은 여성들이 이러한 불편이 있어도 그냥 그러려니 하고 지나는 경우가 많다. 정액 알레르기가 있으면 따갑고 쓰라린 증상을 보이기 때문에 질염이나 성병으로 오진하기도 한다. 또한 질 건조증이라고 생각하여 윤활제를 사용하는 여성도 있다. 정액 알레르기는 콘돔을 이용하여 정액이 여성의 몸에 닿는 것을 차단하거나 질 내에 사정을 하지 않으면 해결된다.

▲ 김영찬 박사
<경기도립의료원 의정부

병원 병원장>

· 연세의대 졸업(82)
· 비뇨기과 전문의(86)
· 의학박사(92)
· 연세의대 교수(89)
· 美 North Carolina대학 교수
· 경희의대 교수 겸 경희 분당
차병원 비뇨기과 과장(95)
· 연세의대 임상 부교수(현)
· 세계성기능장애학회 편집 및
홍보위원(현)
· 아시아 남성갱년기학회 상임
이사(현)

· 포르테 비뇨기과 원장
· [ 저서 ] '남성이 다시 선다'
外 다수

30대 초반의 부부가 나란히 클리닉을 찾았다. 부부가 나란히 병원을 찾는 것이 그리 흔한 일은 아니다.

“나를 부정한 놈으로 오해하고 있습니다. 이제는 상황이 심각합니다.”

건설회사에 다니는 P씨는 억울하다는 표정으로 부인을 옆에 두고 나에게 하소연하였다.

P씨의 부인은 남편이 주기적으로 외도를 하고 있으며 그 결과 자신에게 성병을 옮겼다고 믿고 있었다. 부인의 설명을 들어보니 이랬다.

P씨의 부인은 신혼 때부터 부부관계 후에 항상 밑이 따갑고 부어 오르며 분비액이 많아졌다고 한다. 처음에는 누구나 그런 줄로만 알고 지냈으나 어느 날 친구로부터 남편 때문이라는 말을 듣게 되었다. 그 후로는 아래가 불편해지면 어김없이 남편의 외도가 머리 속에서 맴돌았다.

부인은 혼자서 오랫동안 속앓이를 하다가 결국 P씨에게 따졌다. P씨는 결백을 주장하며 절대 그런 일이 없다고 하소연을 하였으나 부인은 남편을 믿지 않고 스스로 이혼까지 마음에 두고 있었다. 그리하여 P씨는 자신의 결백을 증명하기 위해 부인과 함께 클리닉을 찾게 되었다.

진료 결과는 다행히도(?) P씨에게 성병이 없었고 부인 역시 청결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부 모두가 항생제 치료를 받았고, 그제서야 두 사람은 서로가 이상이 없다는 것을 확신하게 되었다. 그러나 그 후에도 부인은 계속 성교 후에 불편을 느꼈다. 부인은 남편이 부정을 저질러서 자신이 불편했던 것이 아니라 다른 이유에서 그랬다는 것을 이해하게 되었다. 깊은 오해가 한 순간에 풀린 것이다.

부인의 문제는 질 내로 들어간 사정액이 알레르기(allergy)를 유발했던 것이다. 정액 알레르기는 정액 속에 있는 단백질이 문제를 일으키는 것으로, 남편의 몸에 있는 단백질이 아내에게 맞지 않는 것이다. 옛말에 속궁합이 맞지 않는다고 하는 이면에는 이런 경우도 포함된다.

많은 여성들이 이러한 불편이 있어도 그냥 그러려니 하고 지나는 경우가 많다. 정액 알레르기가 있으면 따갑고 쓰라린 증상을 보이기 때문에 질염이나 성병으로 오진하기도 한다. 또한 질 건조증이라고 생각하여 윤활제를 사용하는 여성도 있다. 정액 알레르기는 콘돔을 이용하여 정액이 여성의 몸에 닿는 것을 차단하거나 질 내에 사정을 하지 않으면 해결된다. 그러나 콘돔 사용은 효율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한다. 콘돔은 성적 쾌감을 저하시키므로 남성들이 콘돔 사용을 꺼려하기 때문이다. 또한 사정을 하지 않거나 질 외로 사정하는 방법 역시 남성들이 부담을 느껴 시행하기에 어려움이 있어 결국은 클리닉을 찾게 된다. 치료 방법으로는 여성에게 알레르기 반응을 줄여주는 약물 요법을 사용하기도 하고, 남성의 경우 물을 많이 마셔서 정액을 희석시키는 방법을 쓰면 증상이 경미해지므로 정상적인 부부생활을 할 수 있다.

요즘의 세태는 부부가 쉽게 남남으로 헤어지는 세상이다. 부부는 서로 살을 섞고 살며 가장 가까운 사이지만 사소한 것으로 인해 오해를 하기도 한다. 특히 성(性)이 관련되면 오해가 부부 사이의 심각한 상황으로까지 전개될 수 있다. 섹스에 대해 문제가 있으면 부부 사이에 솔직히 드러내어 대화하고 전문가를 찾아 해결책을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