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교수들, 복지부장관에 전공의 사직처리 등 제시 전망
의협, 의료현안 및 ‘올특위’ 관련 입장 밝힐 듯
[의학신문·일간보사=정광성 기자] 정부가 전국 수련병원에 요청한 전공의 사직 처리 최종일을 맞아 의료계가 기자회견을 열고 입장을 밝힐 예정이어서 주목된다.
구체적인 회견 내용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전공의 사직 처리를 중심으로 현 의료공백 사태 해결을 위한 방안 및 입장을 정부에 제시할 전망이다.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15일 서울의대 융합관에서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께 드리는 의견’을 주제로 기자회견을 연다고 밝혔다.
구체적 내용은 공지되지 않았지만, 15일은 정부가 전국 수련병원에 전공의 사직을 최종 처리하라고 요청한 ‘D-Day’인 만큼 전공의 사직 처리와 관련한 내용일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수련병원협의회는 전공의 사직서 수리 시점의 2월 말 적용과 함께 전공의의 현장 복귀를 위한 충분한 설득 시간 확보를 위해 사직 최종처리 시기 연장을 정부에 요청했으나 정부가 이를 거부했다. 지난 11일 기준 출근 전공의는 전체의 8%인 1094명, 미복귀 전공의는 1만2662명이다.
이에 각 수련병원은 전공의들에게 오는 15일까지 미복귀‧무응답 시 사직 의사로 판단하겠다는 내용을 담은 병원 복귀 여부를 묻는 문자 메시지를 발송했으며, 여기에 더해 일부 병원에서는 설명회‧과별 면담 등을 시행했다.
또한 서울대병원을 포함한 37개 의대 교수들은 성명서를 통해 “이제는 ‘사직서 수리 금지 명령’이 아니라 ‘사직서 수리 명령’인가”라며 “복지부는 공문에서 병원-전공의 당사자 간 법률관계는 정부가 일률적으로 판단할 수 없다고 언급한 만큼 전공의와 병원에 대한 위헌적 명령과 조치를 즉시 취소하고, 사직서 수리에 관여하지 말라”고 촉구한 바 있다.
아울러 대한의사협회도 금일 의협 회관에서 현 의료공백 사태 관련 기자회견을 개최할 예정이다.
의협은 지난 13일 열린 전국 시‧도의사회장단 회의에서 현 의료공백 사태와 ‘올바른 의료를 위한 특별위원회(올특위)’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
이날 시‧도의사회장들은 올특위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재검토를 비롯해 의협 집행부가 직접 전면에 나서 해법을 모색해야 한다는 의견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올특위는 대정부 협상 등을 위한 범의료계 단일안 마련을 위해, 지난달 19일 의협‧대한의학회‧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국의과대학교수비상대책위원회 등이 모여 출범했지만, 의료사태의 당사자인 대한전공의협의회와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가 불참하며, 의료계 안팎에서 대표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계속된 바 있다.
이같이 전공의 사직처리 D-Day에 의료계가 의정사태에 대한 잇단 의견표명을 예고한 가운데, 과연 정부가 귀를 기울일지 귀추가 주목된다.
한편, 전공의 최종 복귀 규모는 오늘 각 병원이 복귀자를 정리해 복지부에 전달하는 시간을 고려하면 16일 즈음 확인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