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비와 기술 업그레이드…수술 위험도 높지 않은 환자도 의료진과 선택 시대김주한 교수 “'메드트로닉 자가확장형 벨브' 시술 난이도 있지만 안전성 장점”

[의학신문·일간보사=오인규 기자] 대동맥판막협착증은 심장 모양과 크기, 동맥 구조, 다른 의학적 문제 유무 등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치료 방법이 있다. 판막교체 방법으로는 가슴을 열어 문제가 된 판막을 인공판막으로 교체하는 수술적 대동맥 판막 치환술(SAVR, Surgical Aortic Valve Replacement)과 경피적 대동맥 판막 치환술(TAVI, Transcatheter Aortic Valve Implantation)이 있다.

이중 TAVI는 가슴을 열지 않고 작은 절개만으로 카테터를 동맥에 삽입해 기존 대동맥 판막 부위에 인공판막을 위치시켜 대체하는 시술이다. 가슴을 열지 않아서 개흉 수술로 비롯될 수 있는 여러 합병증의 위험성이 적다. 더불어 지난해 FDA는 수술 위험도가 낮은 저위험군 환자에게도 자가확장형 인공판막을 이용해 TAVI 시술이 가능하도록 확대 허용하기도 했다.

지역적 한계를 넘어 국내에서 100회 이상 TAVI 성공적 시술을 마치고 프록터(Proctor)가 된 권위자인 전남대병원 순환기내과 김주한 교수<사진>가 바라본 최적의 치료 옵션은 무엇일까?

김주한 교수는 최근 본지와 만난 자리에서 “TAVI가 처음 개발돼 도입됐을 때는 시술에 대해 무모하다는 이야기도 있었으나 현재는 장비나 기술이 좋아져서 수술이나 TAVI 시술이나 위험성 및 예후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반겼다. 여기에 중증 이상의 대동맥판막증인 경우 기존 고위험 환자만 TAVI 시술이 권고됐지만 점차 확대돼 수술의 위험도가 낮더라도 가능해졌다.

그는 “예후는 다르지만 통계적으로 수술과 TAVI 중 ‘더 좋다’, ‘더 나쁘다’를 판단하기 어려운 상황이 됐다”며 “현재는 환자의 연령과 상태 등을 고려해 치료 방법을 결정하게 되는데, 예전에는 수술을 하지 못하는 경우에만 TAVI를 했지만 위험도가 높지 않은 환자들도 의료진과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국내에 상용화된 TAVI 인공판막으로는 자가확장형과 풍선확장형이 있다. 이중 자가확장형인 메드트로닉의 ‘CoreValve Evolut R, CoreValve Evolut PRO’의 경우, 실제로 기능하는 판막엽이 기존 판막 위치보다 높게 위치한 Supra-annular 밸브 디자인을 통해 혈액이 통과하는 판구면적을 동그랗고 넓게 확보, 원활한 혈류 흐름을 돕는다.

또한 구조적 방해물이 없기 때문에 판막엽들간 접합이 잘 이뤄져, 궁극적으로 심장이 한 번의 펌프질만으로도 효율적으로 혈액을 보낼 수 있게 한다.

실제로 김주한 교수는 “메드트로닉의 자가확장형 인공판막은 위치 조정이 가능하다는 점에 장점이 있다”며 “의료진이 시술하다 보면 처음 자리 잡은 위치가 이상적인 곳이 아니라는 판단이 들 때도 있어서 판막의 위치를 조정해야 할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리캡쳐 기능을 활용해 이미 펼친 인공판막을 접었다가 위치를 조정한 뒤 다시 펼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장점은 밸브의 디자인에서 기인한다. 메드트로닉 제품은 판막엽의 위치를 기존의 판막 위치보다 높은 곳에 형성하게 함으로써, 혈액이 통과하는 판구 면적(Effective Orifica Area, EOA)을 동그랗고 넓게 확보하고 혈류 흐름이 원활하게 돕는다.

풍선확장형의 경우 시술 자체가 자가확장형보다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김 교수는 자가확장형의 경우 시술 자체는 풍선확장형 보다 어렵지만 사고가 날 확률은 적다고 평가했다.

그는 “즉, 안전성에 대한 장점이 있다는 것”이라며 “두 밸브 모두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환자의 특성에 따라 가장 적합한 방법을 선택하고 있는데, 풍선확장형 밸브와 자가확장형 밸브 모양은 점점 닮아가고 있으며 더욱 개선된 제품이 개발돼 어느 병원에서나 쉽게 TAVI 시술을 할 수 있게 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적극적 검사와 시술 필요, 급여 확대로 많은 환자 혜택 받길”

인터뷰를 마치며 김 교수는 “안타까운 점은 아직 우리나라에서 TAVI에 대한 환자들의 경제적 부담이 크다는 것”이라며 “앞으로 환자들이 부담을 느끼지 않는 수준의 비용으로 가능해지길 바라며, 내년 정도에는 급여가 확대돼 많은 환자가 혜택 받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일본의 경우, 인구는 한국보다 2~3배 많은 정도이지만 시술 케이스는 10배가 넘는다. 하지만 국내는 같은 동양의 국가들과 비교해봤을 때에도 환자들이 미리 치료를 포기하거나 검사받지 않아서 시술이나 수술을 받지 않은 경우가 많은데, 따라서 의료진들은 환자들이 적극적으로 검사 받고 수술이나 시술을 할 수 있게 노력해야 한다는 조언도 더했다.

이어 “환자가 치료받아야 하는 적절한 시기에 치료를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개인적으로는 저위험군이냐 고위험군이냐를 따지기보다는 모든 환자가 치료시기를 놓치지 않고 필요한 시술 혹은 수술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한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키워드

#메드트로닉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