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소 업무시스템과 나의건강기록앱 연계 완료

[의학신문·일간보사=이승덕 기자]‘나의 건강기록앱’이 확대돼 보건소에서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보건복지부와 한국사회보장정보원·한국보건의료정보원은 보건소 등 지역보건의료기관 업무시스템인 ‘지역보건의료정보시스템’과 보건복지부의 개인 건강정보 열람 앱인 ‘나의건강기록 앱’과의 연계가 오는 24일부터 시작된다고 밝혔다.

보건소의 진료·검진 및 건강관리 서비스를 지속성 있고, 원활하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이전의 진료, 투약, 진단이력 등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지금까지 이러한 건강정보의 확인은 민원인의 기억에 의존하여 구두로 확인하거나, 별도의 종이진단서를 제출받았고, 이도 어렵다면 재검사를 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이제부터는 이러한 불편한 과정이 필요 없게 됐다고 정부는 설명한다.

예를 들어, 혼자 사는 70세 A씨는 최근 당뇨병 진단을 받고, 식사를 어떻게 하면 좋을지 몰라 걱정이 되었다. 그런데 보건소에서 영양상담을 해준다는 정보를 듣고 방문하게 됐다.

이에 영양사가 정확한 상담을 위해 병원은 언제 갔는지, 최근 허리둘레와 당뇨 수치는 얼마인지, 어떤 약을 먹는지 물어왔지만 정확히 기억이 나지 않아 난감했다.

이때 ‘나의 건강기록 앱’을 알게 됐는데, 자신의 스마트폰에‘나의건강기록 앱’을 깔고, 정보사용에 동의했더니 영양사의 PC에서 자신의 건강정보가 바로 보였다.

정확한 건강정보 덕에 자신에게 맞는 영양상담을 신속하고 전문적으로 받을 수 있어서 너무나 만족스러웠다. 또한 잊고 있었던 건강검진도 얼마 남지 않았다는 것도 챙길 수 있었다.

정부는 이와 같이 민간 병·의원에서 이루어진 진단·투약·검진정보 등을 민원인이 동의할 경우 전국 지역보건의료기관의 진료·건강관리 서비스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건강정보 연계체계를 마련하게 됐다.

복지부 곽순헌 건강정책국장은 “이번 건강정보 연계체계 구축을 통해 고령층 등 보건소를 이용하시는 국민이 보다 더 정확하고, 편리한 보건의료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게 됐다. 국민의 이용률, 만족도 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 더욱 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챙기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