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아세안 보건복지 협력 세미나…국가간 협력 가능성은 긍정적
[의학신문·일간보사=이승덕 기자]보건의료분야에서 디지털헬스 기술발전과 수요가 높아지는 가운데, 개인정보를 위시한 ‘사회적 합의’는 우리나라 뿐 아니라 세계적인 공통 과제로 제시됐다.
지난 26일 보건복지부·주아세안대한민국대표부가 드래곤시티호텔에서 공동개최한 ‘한-아세안 보건복지 협력증진 세미나’에서는 보건·디지털헬스 세션 토론회에서 이 같은 내용이 중점 논의됐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좌장을 맡은 임영이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의료해외진출단장이 패널토론자들에게 △한국과 아세안국가들의 공공의료 분야 디지털화에서의 도전과제 △한국-아세안 국가 간 의료정보 디지털화 협력 가능성에 대한 견해를 물었다.
공공의료 분야 디지털화에 대해서는 사회적 합의가 각국에 공통적인 과제로 남아있었으며, 협력 가능성에 대해서는 긍정적이었다.
김재용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운영실장은 “현재 건보공단에서만 한 해 1200건 정도의 빅데이터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제가 알기로 전 세계에서 이렇게 많은 데이터를 빠르게 제공하는 국가는 없을 것”이라면서도 “문제는 이 많은 연구가 현실에서 국민이 체감할 혜택으로 만들어지는 속도가 늦다”고 평가했다.
김재용 실장은 “이를 해결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이 사회적 신뢰로, 이를 통해 좀더 적극적 시도를 할 수 있는데 지금까지는 불행히도 전문가·기술자 중심으로 빅데이터 사용과 관련한 기술적 해법 등만 논의돼 왔다”며 “이러한 한계를 걷어내고, 윤리적·법적 기준이 많은 국민들이 참여하는 사회적 논의로 만들어져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에 “다른 국가에서도 한국의 경험을 참고해 단순히 빅데이터를 재료로만 바라보고 빨리 상업적으로 사용할 지만 관심을 갖는다면 생각보다 성과를 빨리 내는데 어려움이 많을 것”이라며 “사회적 논의를 함께해 나가는 발전 전략을 마련하길 권한다”고 강조했다.
메이 퓨 린(May Phyu Lynn) 미얀마 보건부 부국장은 “한국과 아세안의 디지털라이제이션 도전과제를 보면 개인정보와 시스템 호완성, 인프라 문제 등이 있을 것”이라고 포괄적으로 언급했다.
그러면서 “한국은 디지털라이제이션에서 많은 부분을 이룩했지만, 아세안 국가들은 아직 그정도로 발전하지 않았다”며 “AI뿐 아니라 여러 플랫폼들을 배우고 우리 국가에서도 이런 것들을 발전시켜 국제표준을 맞춰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어야할 것”이라고 연계 가능성을 시사했다.
프리실라 추아(Priscilla Chua) 싱가포르 헬스테크정책과 IT&데이터 그룹 부국장은 “몇년간 매우 큰 패러다임 변화가 있었다. 과거에는 대면회의가 많았으나 코로나팬데믹 이후 새로운 ZOOM(온라인 회의)에 적응했고, 버츄얼 미팅도 많이 했다”고 변화를 설명했다.
이에 따른 도전 과제로는 “데이터 보호와 소프트웨어, 메디컬 디바이스 문제 등이 있는데, 의료기기의 정의가 재정리되고 많은 변화가 있었고, 데이터 개인정보보호 및 보안에 대한 문제가 있다”며 “AI 등 헬스케어를 환자에게 윤리적으로 안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개발해 갈 수 있는지, 얼마나 시간을 투자해 보안을 하고 있나 생각해 봐야 한다”고 짚었다.
김동진 한국건강증진개발원 디지털헬스케어팀장은 “우리나라의 공공의료 영역은 보건소를 포함해 인적·물적으로 어려운 곳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 디지털 기술을 접목하는 것은 공공의 모자란 부분을 채워줄 좋은 도구이자 대안”이라며 “근거 기반의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축적된 데이터를 더 수집해 연구·분석하면 예측가능한 패턴을 확인해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가간 협력에 대해서는 “국가간의 데이터 표준까지도 연계성이 강화된다면 고도화된 디지털헬스케어 서비스가 제공가능할 것이라고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고 전망했다.
정설희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제협력단장은 한-아세안 협력 가능성에 집중하면서 “굉장히 높다고 말할 수 있다. 실제로 심평원과 건강보험공단, KOFIH(국제보건의료재단) 같은 공공기관 뿐 아니라 분당서울대병원 등 민간의료기관에서도 아세안과 역량강화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중”이라고 언급했다.
특히 심사평가원과 관련 “2021~2023년 복지부가 주관하는 K헬스 사업을 통해 아세안 국가의약품 정보시스템 구축 지원 컨설팅 사업을 수행한 바 있다”며 “심평원 입장에서는 이것이 시스템 구축과 운영으로까지 이어지기를 간절하게 바란다”고 덧붙였다.
정설희 단장은 “한국은 디지털라이제이션을 이제 경험한 국가로, 이와 관련한 많은 과제를 안고 있다. 이러한 경험들이 아세안 국가와의 협력을 통해 상호 윈-윈하고 발전할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