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 환자 중심 질환 특성 고려, 2세대 BTK 억제제 임상 근거로 치료 패러다임 전환
[의학신문·일간보사=김상일 기자]만성림프구성백혈병(CLL)은 혈액 속에서 정상적으로 성숙하지 못한 림프구가 과도하게 증식하는 질환으로 주로 고령층에서 발생하는데 최근 5년간(2020년~2024년) 국내 환자 수는 1601명에서 2373명으로 약 48% 증가해 고령화에 따른 의료적 부담이 커지고 있다.
이명원 충남대학교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는 “만성림프구성백혈병은 진단되더라도 바로 치료를 시작하지 않고 경과 관찰 기간이 길어질 수 있어, 많은 환자들이 불안과 심리적 스트레스를 경험한다”며 “다만 증상이 뚜렷하거나 골수 기능 저하가 명확할 경우, 또는 증상은 없더라도 백혈병 세포가 빠르게 증가할 경우에는 치료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과거에는 세포독성 화학요법이 표준 치료법이었으나, 독성과 감염 위험으로 고령 환자나 기저 질환이 있는 환자에게는 적합하지 않았다. 이후 BTK 억제제가 도입되면서 만성림프구성백혈병은 장기 관리가 가능한 만성질환처럼 인식되기 시작했으며, 특히 2세대 BTK 억제제의 등장으로 치료 패러다임이 한층 진전됐다.
비원메디슨코리아의 2세대 BTK 억제제 브루킨사(성분명 자누브루티닙)는 1세대 약제와 직접 비교한 ALPINE 임상에서 효과와 안전성 모두 개선된 결과를 입증했다. 재발성·불응성 만성림프구성백혈병 또는 소림프구성림프종 환자 652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브루킨사는 대조군 대비 약 9.3% 높은 83.5%의 객관적 반응률을 보였다.
치료 24개월 시점의 무진행생존율 또한 대조군 대비 약 12.5% 개선된 78.4%로 확인돼 우월성을 입증했다.
만성림프구성백혈병은 장기간 치료와 지속적 모니터링이 필수적이며, 특히 치료 과정에서의 부작용 관리가 중요하다. 브루킨사는 ALPINE 임상에서 심방세동, 심장 질환, 주요 출혈 등 주요 이상반응 발생률이 대조군 대비 더 낮게 나타나 장기 치료의 지속성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했다.
이 교수는 “만성림프구성백혈병 환자 대부분이 고령층으로, 치료 효과 못지 않게 ‘얼마나 오랫동안 안전하게 복용할 수 있는가’가 치료 성과를 좌우한다”며 “브루킨사는 개선된 안전성 프로파일을 통해 환자들이 장기간 안정적으로 치료를 이어갈 수 있도록 하는, 의미 있는 치료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83세 여성 A씨는 2025년 5월부터 간헐적인 복통이 지속돼 병원을 찾았다. 혈액검사 및 복부 CT결과, 백혈구(림프구) 수치 상승과 함께 복부 림프절 비대, 비장비대 소견이 확인돼 본원으로 의뢰됐다.
골수검사 및 림프절 생검 결과, 만성림프구성백혈병으로 진단됐으며, 빈혈 (Hemoglobin 9.2 g/Dl), 혈소판 감소 (platelet 87,000/mm3) 및 전신 림프절 비대, 비장비대가 동반돼 치료가 필요한 병기 (Binet 병기 C, Rai 병기 IV) 로 확인됐다.
2025년 6월부터 브루킨사를 투여해 질병의 관해 유도를 시작했으며, 고령의 환자임에도 용량 조절을 통해 약제에 대한 별다른 부작용 없이 약제를 복용 중이다.
빈혈 및 혈소판 수치가 점차 개선되고, 복부 불편감 등의 증상도 해소돼 현재는 2개월 간격으로 혈액종양내과 외래 추적 관찰 중이며 안정적인 일상생활을 유지하고 있다.
브루킨사는 국내에서 처방 가능한 BTK 억제제 가운데 유일하게 NCCN 가이드라인에서 만성림프구성백혈병 또는 소림프구성림프종 치료에 ‘Preferred Regimen’
으로 권고하는 옵션이다. 국내에서는 지난해 6월부터 ▲만 65세 이상 만성림프구성백혈병 또는 소림프구성림프종 환자의 1차 치료 단독요법 ▲만성림프구성백혈병 또는 소림프구성림프종 환자의 2차 치료 단독요법으로 급여가 확대되면서, 국내 환자들의 치료 공백이 해소되고 더 많은 환자들이 치료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됐다.
이 교수는 “브루킨사는 부작용 부담을 낮춘 것을 넘어, 환자들이 더 나은 치료 성과를 장기간 안정적으로 이어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며 만성림프구성백혈병 치료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며, “현재 1차 치료는 65세 이상 환자에 한해 급여가 적용되고 있지만, 임상연구에서는 연령 제한 없이 일관된 치료 효과가 확인된 만큼 향후 더 많은 환자들이 치료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급여 환경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