턱뼈 부정교합은 턱 성장에 맞춰야…치열 교정의 경우 영구치 난 이후도 늦지 않아

[의학신문·일간보사=정윤식 기자] 교정치료는 유치가 빠지기 시작하는 초등학교 저학년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 치료 가능 연령이 다양하다. 대한치과교정학회에 따르면 2017년 치과 교정 환자는 19세 이하 환자 60.82%, 20대 이상 환자는 39.18%로 다양한 연령대가 교정치료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연령대에서 교정치료를 받을 수 있지만, 시기를 놓쳐서는 안되는 교정치료도 존재한다.
이에 강동경희대치과병원 교정과 강윤구 교수와 함께 언제‧어떻게 교정 치료를 받는 것이 좋은지 알아봤다.
| ■ 턱뼈 부정교합, 알기 어려워 6세경 진료 필요 부정교합 중 윗니와 아랫니가 거꾸로 물리는 반대 교합은 가능하면 빨리 치료하는 것이 좋다. 어릴 때 치료하지 않고 성인이 되어 치료하려면 수술이 아니면 교정이 어렵기 때문이다. 아이의 협조가 가능하다면 6살부터도 치료를 시작할 수 있다. 윗니, 아랫니 간격이 큰 무턱과 위턱뼈 돌출 부정 교합은 약 초등학교 5학년 시기인 혼합치열기 말기-영구치열기 초기에 교정치료를 시작할 수 있다. ■ 치열 교정, 12~13세 이후 영구치열기에 해도 늦지 않아 ![]() ■ 돌출입, ‘치아성’, ‘골격성’ 따라 치료방법 결정 골격성 돌출입은 수술과 교정을 같이 진행하는 치료법이 많이 시행된다. 수술법은 크게 3가지가 있는데 △턱뼈의 앞부분을 잘라 후방으로 넣는 ‘전방분절골절단술’ △턱뼈를 통째로 후방으로 넣는 ‘양악후퇴술’ △잇몸뼈 바깥쪽을 절단해 치아이동을 빠르게 하도록 돕는 ‘피질골절단술’이 있다. 최근에는 전체 치아를 후방으로 이동하여 돌출입을 해결하는 방법도 개발되었다. 이 경우에는 작은 어금니의 발치가 필요 없으나 치열이 전체적으로 후방으로 이동해야 하므로 잇몸뼈가 후방에도 충분히 존재하는 경우에만 시행할 수 있다. 강윤구 교수는 “돌출입은 일반인이 보기에는 간단한 증상일 수 있으나 실제로는 주변 안면 구조와의 관계, 원인 요소의 파악해 진단 및 치료계획을 세워야 하는 등 매우 복잡하다. 얼굴, 특히 입 부분의 심미성은 본인의 자가적인 진단보다는 해당 분야의 전문가인 치과 교정 의사와 상의하는 것이 좋다”고 당부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