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사연, 미국 REC 통한 EHR 확산사례 분석…국내 지원 TF 및 참여저조 원인 분석 등 제안

[의학신문·일간보사=이승덕 기자]우리나라의 저조한 전자의무기록(EMR) 인증제 참여를 확대하기 위해 미국의 지역확장센터 프로그램과 같은 맞춤형 지원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제시됐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사연)은 최근 발간한 ‘국제사회보장리뷰 통권 제24호’ 중 ‘미국의 지역확장센터 프로그램을 통한 전자건강기록 도입 확산 정책(보사연 보건정책연구실 백주하 부연구위원, 오수진 전문연구원)’을 통해 이 같은 내용을 소개했다.

연구진들은 미국의 지역확장센터(Regional Extension Center, 이하 REC) 프로그램을 통한 전자건강기록 도입 확산 정책을 살펴보고 국내 상황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했다.

미국은 전국에 62개의 REC 프로그램을 신설해 1차진료의사와 소규모 병원, 농어촌 지역 의료기관들의 전자건강기록(EHR)의 도입과 인센티브 프로그램의 조건 달성을 지원했다.

구체적인 서비스 영역으로 EHR 도입과 관리 지원, 의료 정보통신 관련 교육・훈련, 제품 업체 선정과 재정 상담, 개인정보보호 및 보안, 지속적인 기술지원 등이 포함됐다.

핵심적 지원은 현장 지원 활동, 교육 활동, 프로그램 관리, 지역의 직원 지원 등을 위해 각각의 REC에 첫해부터 2년 동안 매년 약 50~75만 달러를 지원했으며, 지원 액수는 지원 받는 REC 운영 계획과 예산 제출 승인에 따라 달라졌다.

직접 원조 지원은 주로 기술적인 지원에 사용하고, 첫해에 직접적인 기술지원을 받는 1차진료의사 수에 비례해서 지원자들에게 전체 약 5억 달러를 배정했다. 이 재정은 분기별로 이전 분기에 앞서 언급했던 세 가지 구체적인 성과들을 달성한 의료인들의 수를 바탕으로 지원했다.

이러한 지원 활동의 결과, 미국 내 소규모 병원과 농어촌 지역 병원들의 EHR 도입률은 2011년과 2015년 사이 크게 증가해 각 병원 그룹에서 20%대에서 80% 이상으로 증가했으며, REC 프로그램 등록 후 지원 받은 의료인·병원들이 미참여자에 비해 2.3배 올라간 것을 확인했다.

연구진은 이러한 정책 내용과 성과가 현재 한국의 EMR 인증제에서 참여가 매우 저조한 소규모 병원과 의원들을 위한 맞춤형 지원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한국은 2020년부터 환자 진료정보 활용 활성화와 국가 정보교환 인프라 구축을 위해 국가적인 EMR 인증제를 도입해 의료기관들의 인증된 EMR 도입 확대를 위해 노력해 오고 있지만, 2023년 1월 기준 의료기관 종별로 전체 의료기관 중 EMR 인증제 참여 기관수는 상급종합병원(88.9%)과 종합병원(29.8%)에 비해 병원(2.9%)과 의원(11.1%)들이 현저히 낮은 상황이다.

연구진은 “병원과 의원들이 인증제에 참여하고 인센티브 지원을 받도록 돕기 위해 미국 REC와 유사한 프로그램 또는 태스크포스(TF) 형태의 지원조직이 필요하다”며 “한국에서 이미 병의원이 EMR 시스템을 도입해 사용하는 상황에서 단순히 인센티브 지원만으로는 참여 독려에 한계가 있다. 자발적 인증제 참여를 이끌 맞춤형 지원 프로그램 또는 조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원 TF에서는 병의원의 인증제 참여 주저 이유를 설문조사 등을 통해 파악하면서 유인책을 통해 실제적 필요에 맞는 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미국 REC 프로그램에서 이뤄진 추가적 재정 지원, 교육과 훈련 제공, 인센티브 제도 적응 지원, 인증 EMR 제품업체 선정 및 재정상담, 기술지원 홍보 등을 병의원 맞춤형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더불어 “지원 TF를 통해 EMR 인증제에 지원했으나 탈락한 병원과 의원급 의료기관들의 인증제 재신청을 돕기 위한 활동도 필요하다”며 “이들을 위한 개별적 후속 조치를 통해 인증제에서 탈락한 이유를 파악해 보완해야할 점들을 찾도록 도와주고, 이들이 인증제에 참여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맞춤형 지원을 한다면 전체 참여율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