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정맥 리드 관련 합병증 가능성 제로, 장기간 ICD 보유자 및 투석 환자도 최적 옵션
조민수 교수 “낮은 시술 체감 난이도로 러닝 커브 극복, 효과적 환자 세팅 지속 연구”

[의학신문·일간보사=오인규 기자]

국내 S-ICD Proctor 릴레이 인터뷰 ②서울아산병원 조민수 교수

보스톤사이언티픽의 ‘S-ICD’는 심실의 비정상적인 심장박동(부정맥)이 감지되면 전기적 충격을 전달해 정상박동으로 만들어 주는 피하 이식형 심율동 전환 제세동기다.

기존 경정맥형 제세동기(ICD)와 달리 전극선이 환자의 경정맥이 아닌 흉골 부위 피하에 바로 삽입돼 혈관과 심장 안에 위치한 전극선으로 비롯되는 혈관 감염의 위험성과 혈관 협착 등의 합병증을 줄이는데 도움을 준다.

심장과 혈관을 직접 건드리지 않고 피하에 전극선을 삽입해 환자의 부정맥을 치료하는 ‘S-ICD’는 국내에서 현재 보스톤사이언티픽의 엠블럼(EMBLEM)이 유일하다.

제품 안전성 및 유효성에 대한 전문가 검토를 통해 보건복지부에서 신의료기술로 인정받았으며, 2019년 3월부터 건강보험 급여가 적용되고 있다.

본지는 이를 국내에서 본격 활용하며 8회 이상 시술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경쟁력 향상과 기술 적용에 선도적 역할을 하고 있는 S-ICD Proctor로 선정돼, 구심점이 되고 있는 의료진들을 릴레이로 만나 실제 경험과 환자 만족도 및 효용성, 진행 연구 등을 들어봤다.

“아무래도 젊은 환자들에 혈관을 건드리지 않아도 된다는 점에서 대상이 된다, 경정맥 전선을 오래 놔두게 되면 일부에서는 전선이 망가질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데 전선과 관련된 합병증이 적고, 젊은 환자들은 심금경색 등 구조적 심질환보다 특발성 심실빈맥이나 유전성 질환이 많은데 미용적인 면도 무시할 수는 없다”

서울아산병원 조민수 심장내과 교수<사진>는 본지와 만난 자리에서 S-ICD는 무엇보다도 경정맥 리드와 관련된 합병증 가능성에 대해서 생각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과 특히 젊고 오랫동안 ICD를 가지고 있어야 하는 환자에게 이점으로 다가온다고 평가했다.

S-ICD는 기존 ICD와 다르게 심장 또는 혈관 내를 건드릴 필요 없이 모든 시스템이 피하에 심어지는 제세동 시스템이다. 보통 옆구리 쪽에 10cm 정도의 절개 이후 넣게 되며 앞쪽 가슴 쪽에도 한군데 또는 두 군데 3cm 정도의 절개 이후, 이 두 개의 절개선을 이용해서 제세동을 위한 전극선 및 기기 시스템을 삽입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전선은 흉골 상방의 피부 팀에 위치시키게 되고, 본체는 옆구리 쪽에 고정해 사이에 쇼크를 위한 매개체를 형상하게 된다.

조민수 교수는 “투석환자와 같이 정맥을 하나라도 아껴야 할 분들에게서 S-ICD가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며 “혈관계 관련 감염 가능성이 아주 높거나 면역억제제를 사용하고, 과거 경정맥 ICD 감염이 있거나 혈관 자체가 망가져 있어 접근이 어려운 케이스에도 큰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실제 시술 환자들에 만족도를 묻는 질문에서 여자 환자들의 경우 시술 자리가 옷으로 가려지는 부분이 있어 반기는 경우가 있었다는 의견과 함께 감염으로 고생한 환자들이 특히 좋아하는 부분이 있다고 답했다.

그는 균혈증이 생기면서 기기 추출과 항생제 치료를 오래하며 고생했던 환자를 기억하며 “본인 심장에는 아무것도 넣지 말아달라며 ICD를 거부했는데, S-ICD는 심장을 안 건드린다고 설득해서 시술을 끝냈다”며 “지금은 잘 지내고 계시고 좋은 시술을 추천해줘서 고맙다는 말을 남겼다”며 환한 미소를 보였다.

젊은 부정맥 전문가가 바라본 S-ICD 특장점 ‘러닝커브’ 극복

한편 국내 S-ICD Proctor 중 최연소인 조 교수는 떠오르는 젊은 부정맥 전문가이기도 하다. 일정 수 이상의 시술을 마쳐야 하는 쉽지 않은 선발 조건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케이스를 경험한 그는 초기에는 서전이 된 느낌을 받으며 당황하기도 했다고 솔직히 답했다.

이어 조민수 교수는 “경정맥 ICD에 비해서는 기기가 다소 크고 피하로 시술을 하는 과정들이 경정맥에 비해서 좀 험한 면들이 있었지만 실제 체감에 있어서는 시술 난이도가 상대적으로 쉽다고 느꼈다”며 ‘러닝커브’ 극복에 있어서도 특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특히 심장 근육 상태가 멀쩡하지 않은 환자들이나 혈관에 해부학적 이상이 있는 경우 경정맥으로 할 경우 전기곡선도(electrogram)가 잘 보이는 부분을 찾기 위해 고생하는 경우도 종종 있는데, S-ICD는 일정하게 해부학적인 접근만 하면 되므로 시술 자체도 쉬운 편이라는 평가다. 이밖에도 옆구리 쪽은 복대로 충분히 지혈이 쉽게 된다는 점도 주목했다.

인터뷰를 마치며 조 교수는 “운이 좋게도 S-ICD가 나올 때 디바이스를 많이 하는 자리에 있었고 좋은 스승과 동료들에 지원으로 빠른 시간 내에 많은 경험을 쌓을 수 있었다”는 소감을 밝혔다.

또한 그는 “향후 좋은 기계들을 이용하며 환자들을 잘 치료하는 것은 물론이고, 환자들을 어떤 세팅으로 해둬야 S-ICD가 가장 효과적일지 계속 연구하겠다”는 포부를 내비쳤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