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신문·일간보사=김영주 기자]윤석열 대통령은 바이오헬스산업을 제2의 반도체 산업으로 점찍었다. 반도체가 현재라면 미래는 바이오헬스라는 점을 분명히 한 것이다. 복지부는 수치로 대통령의 의지를 뒷받침했다. 5년 내에 연매출 1조원 이상 블록버스터급 글로벌 신약 2개, 연매출 3조원 이상 글로벌 50대 제약 3개사 배출, 수출 160억 달러로 현재의 2배 달성 등이 제시됐다. 이 정도 되면 제약바이오산업 6대강국에 자리하게 된다. 이른바 제3차 제약바이오산업 육성·지원 종합계획이다. 산업계는 이번 정부 3차 종합계획에 대해 크게 반기는 기색이다.

김영주 부국장
김영주 부국장

사실 수치로 나열된 산업 육성 종합계획은 당사자인 산업계에 그다지 큰 감동을 주지는 못해왔다. '그저 목표는 목표일 뿐' 이었던 것이 그동안의 사례였다. 지난 1차 5개년(2013~2017년)계획에선 ▲생산규모 30조원 ▲수출 11조원 ▲글로벌 50대 제약 1곳 ▲글로벌 신약 4개 ▲블록버스터급 신약 신약 1개 개발 등의 목표가 제시됐다 그러나 가장 최근 데이터인 2021년 기준으로 볼 때에도 생산규모(25조원), 수출(9조원), 연간 1조원 매출 블록버스터급 신약(0개) 등 어느 것 하나 달성된 것이 없는 지경이다.

산업계가 이 같이 반기는 것은 수치가 아닌 내용 때문이다. '바이오헬스를 제2의 반도체 산업으로 키워야 한다’는 범부처 전략회의에서의 대통령 언급에 우선 고무돼 있다. 산업계는 그동안 미래먹거리산업으로서의 제약바이오산업의 잠재성을 끊임없이 주창해왔고, 그에 걸 맞는 관심과 지원을 촉구해 왔지만 만족할만한 정부의 결과를 이끄는 데 까지는 이르지 못해 왔던 것이 사실이다. 특히 윤석열 정부의 경우 후보 시절에나 당선 후 인수위 때나 산업에 대한 특별한 언급이 없어 관심 밖으로 밀려나는 것 아닌가 하는 우려도 팽배했었다. 윤 대통령의 산업의 중요성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이 같은 우려를 불식시키며 전폭 지원에 대한 기대를 높이고 있다.

산업계는 여기에 더해 이번 정부 3차 5개년 계획의 세부안이 산업계의 입장을 대폭 반영한 현실적 대안이라는 점에서 더욱 후한 점수를 주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거론되는 것이 ‘1조 규모 메가펀드 조성’과 ‘국무총리 직속 디지털·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 설치' 이다. 정부가 나서 신뢰를 담보함으로써 투자를 이끄는 ‘메가펀드’는 성공사례를 낳고, 그 성공사례가 다시 추가 펀드로 이어지며 자금에 목마른 국내 기업의 갈증을 해소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란 기대이다.

특히 산업계가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 것이 ‘국무총리 직속 디지털·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설치이다. 범정부 차원의 혁신위 설치는 6년 전 원희목 제약바이오협회장의 취임 기자회견에서 처음 주창됐다. 당시 원 회장은 "정부의 R&D 지원, 허가·규제, 보험약가제도 등 다양한 정책들과 정부간 통상협력 방안을 비롯한 국내외 이슈를 논의하기 위해선 산업 육성정책의 컨트롤 타워 역할을 수행하는 민·관 협의기구 성격의 위원회가 필요하다"며 제안했다. 이 제안은 ’과연 받아들여질까?’하는 의문 부호에서 출발했지만 코로나19 팬데믹속에 산업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며 현실화 가능성을 높이더니 마침내 그 실현을 목전에 두고 있는 것이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 노연홍 회장은 최근 있은 취임기자간담회에서 혁신위원회 설치에 대해 높은 기대감을 표명했다. 노 회장은 “정부가 디지털·바이오헬스 혁신위원회 설치를 결정한 것은 부처별로 나뉘어 있던 R&D 지원 등을 범부처 차원에서 진행할 수 있도록 거버넌스 체계를 바꾸겠다는 것으로 굉장히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산업계는 이번 제3차 종합계획에 대해 크게 환영하는 한편, 이제 혁신위 설치 등 제도적 실현에 속도를 높여주기를 주문하고 있다. 특히 실무 작업부터 산업계 인물들이 다수 참여해 현실을 반영한 실효성 있는 기구 및 제도가 탄생할 수 있도록 해 줄 것을 촉구하고 있다. 산업계는 이번 종합계획 마련을 퀀텀점프(대도약)의 계기로 삼고자 하는 의지를 감추지 않고 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