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신문·일간보사=이정윤 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기관 명칭에 ‘안전’이 붙어있어 식품과 의약품 관리에 있어서 ‘안전’에 방점을 둔다.

식품도 그렇지만 특히 의약품은 허가나 승인 시 효능과 함께 안전성을 가장 중요하게 들여다 본다.

안전성이 담보되지 않으면 자칫 국민 생명과 건강에 지대한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의약품에 대한 국민 불신을 불러오기 때문이다.

이정윤 편집부국장
이정윤 편집부국장

적어도 의약품을 안전하게 효과가 있어야 하는 것이다.

그래서 식약처 조직도 의약품 안전을 담당하는 부서가 많다.

식약처 기능의 본질이 안전성 확보라는 점에서 여전히 안전이 매우 중요하지만 장기간 코로나19를 거치면서 ‘의약품 공급’이 화두로 떠오르는 모양새다.

한때 코로나 확진자가 급증하면서 감기약 품귀현상이 빚어진데 따른 결과로 보인다.

감기약의 부족은 국민 불안감을 부추긴다는 점에서 정부는 심각하게 받아 드린다.

비단 코로나 시대의 감기약에 국한된 현상이 아니라는데 문제의 본질이 있다.

최근들어 의약품 품목수가 많고 다양한 제조방법으로 의약품을 생산하면서 예기치 않은 불순물이 나오면 특정 성분의 의약품이 일시에 사용할 수 없는 사태가 생긴다.

뿐만 아니라 희귀의약품 등 채산성이 없어 국내 생산이나 수입을 하지 않는 의약품이 종종 발생하고 질병치료에 반드시 필요하지만 국내 기업이 이익이 나지 않아 제조를 멈추는 일도 있어 왔다.

지난해 기준 국가필수의약품은 502개 품목인데 절반가량인 45%가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의약품 수입은 주로 미국, 독일, 영국, 스위스에 집중돼 있어 위기상황에 공급망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선진국 대한민국에서 의약품이 없어 치료에 지장을 준다면 창피한 일이다.

정부가 ‘의약품 안전’을 넘어 ‘의약품 공급’에 주력해야 할 이유도 여기에 있다.

다행히 식약처가 새해부터 의약품 공급망 안정화에 나설 모양이다.

코로나가 한창이던 때에 중국에서 수입하던 일부 감기약 성분이 차질을 빚으면서 수급에 눈이 뜨인 것이다.

당국은 급한대로 인도로 공급선을 돌려 해결했지만 이런 상태의 재발은 항상 잠복성이다.

특정국가의 비상사태, 특정국과의 외교적 분쟁, 특정 성분 제조시설의 불가항력적 사고 등 의약품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을 가능성은 항존한다.

여러 상황에 대비해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가 그래서 필요하다.

아무리 좋은 의약품이라도 제 때 적정량이 공급되지 않는다면 그 의약품은 없는거나 마찬가지다.

지금이라도 ‘의약품 안전’에다 ‘의약품 안정 공급’을 보태 좋은 약을 제때 공급하겠다는 식약처 의지에 박수를 보낸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