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신문·일간보사=안병정 기자]코로나 19 신규 확진자가 하루 5천명을 돌파하여 국민적 불안과 우려가 가중되고 있다. 위중증 환자 수도 700명대로 역대 최고를 기록하여 의료체계에 비상이 걸렸다. 설상가상으로 전파력이 높은 ‘오미크론 변이’ 확진자까지 나와 긴장감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에 정부는 의료적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 추가적인 병상확보에 나서는가 하면 의료기관과 의료인들의 참여를 이끌기 위한 인센티브를 들고 나오는 등 대책에 고심하고 있다.

어쨌거나 당장 불길을 잡을 묘책이 시급하다. 알려져 있지만 현재의 의료체계로는 위중증환자를 수용할 병상이 바닥났고, 전문 인력도 턱 없이 부족한 지경이다. 병상이 없어 궁여지책으로 재택치료를 받는 수많은 환자들이 애를 태우고 있는 중이다.

그러니 우선 소나기를 피할 대책이 나와야 하고, 그 다음 불길을 잡을 방도를 찾아야 한다. 소나기를 피할 방법은 방역 강화이며, 극단적으로 일정기한 ‘락다운(봉쇄령)’을 내리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불길을 잡는 근본적인 대책은 의료체계가 제대로 작동되도록 시스템을 확립하는 일이다.

그동안 정부는 단계적 일상회복에 돌입한 뒤 세 차례에 걸쳐 병상확보를 위한 행정 명령을 내렸지만 수도권에서 확보된 병상은 이미 꽉 들어 찬 상태다. 급한 나머지 이달중순까지 중등증 병상을 중심으로 1400여개를 추가로 확보하겠다고 하지만 이것도 제때 얼마나 이루어질지는 미지수다.

현장의 얘기를 들어보면 ‘위중증 환자를 수용하려면 적어도 병동 전체의 환자를 소개(疏開)하고 병동을 새로 꾸며야 하는데 병원별로 몇 병상씩 떠 맡겨서 될 일인가’ 하며 난감해 한다. 가용할 전문 인력도 없다고 한다. 거점병원의 경우는 의료진이 부족해 감염이나 호흡기전문의 대신 외과 등 타과 전문의를 대체인력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수요가 가장 많은 간호사는 더 이상 구하지도 못해 체력이 바닥난 상태라고 한다. 그러니 물리적으로 병상을 늘린다고 해봐야 제대로 굴러갈지 그것도 의문이다.

결국 특단의 대책이 아니고는 난관을 뚫고 나가기 어려울 것 같다. 현재의 의료대응책은 불똥이 튈 때마다 발화 지점을 찾아 소화전을 펼치는 격이다. 방역당국이 고군분투하는 것은 맞지만 에너지를 찔끔 찔끔 쏟아 붇는 것 같아 효율성에 의문이 든다. 이 보다는 트랙을 넓게 치고 짧고 굵은 비상대책을 만들었으면 한다.

특히 현장에서 제대로 작동할 수 있는 대책이 나왔으면 한다. 그동안 정부가 추진해 온 ‘방역’은 행정으로 얼마든지 기능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의료적 대응은 행정(명령) 만으로는 어려우며 의료기관과 전문가들의 역할이 절대적이다. 따라서 의료대책 만큼은 전문가들이 수긍할 수 있도록 긴밀히 소통하며 현장에서 답을 찾았으면 한다.

그리고 사안별로 인센티브나 보상을 제공하며 동기를 유발하기보다는 의료체계가 시장의 기능에서 작동 할 수 있는 기전을 만들어 나갔으면 한다. 그런 맥락에서 의료기관에 대한 지원과 투자를 획기적으로 늘려 자발적으로 시설과 인력을 확충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길 바란다. 그것이 아니라면 국가가 보건안보 자산을 구축하겠다는 목표로 대대적인 투자에 나서야 할것이다. 구체적으로 주요 거점병원을 정해 국가가 대규모 시설과 인력을 확충하여 안정적인 운영을 담보해주면서 평소에는 병원이 자율성을 가지고 운영해 나가되 지금과 같은 비상 국면에는 공적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항구적이며 통 큰 대책 같은 것 말이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