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부터 2019년까지 환자·진료비 각각 17%·47% 증가

[의학신문·일간보사=이승덕 기자]2019년 턱관절장애 환자가 41만명까지 확대됐으며, 진료비는 총 458억원으로 증가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용익)은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최근 5년간의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턱관절장애(K07.6)’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발표했다.

턱관절장애는 턱관절의 염증이나 탈구로 인해 통증과 잡음이 생기고, 입을 벌리는 데 장애가 있는 질환이다.

5년간 총 진료인원은 2015년 35만 3000명에서 2019년 41만 4000명으로 17.1%(6만 1천 명)가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4.0%로 나타났다.

2019년 기준 ‘턱관절장애’ 질환 진료인원 구성비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여성이 여성 진료인원이 남성 진료인원 보다 1.5배 높았다.

전체 41만 4천 명 중 20대가 27.7%(11만 4천 명)으로 가장 높았고, 30대가 16.0%(6만 6천 명), 10대 이하가 5만 7천 명(13.9%)의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20대 29.5%, 10대 이하 15.8%, 30대 15.3%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의 경우는 20대 26.4%로 가장 높았고, 30대 및 40대가 각각 16.5%, 14.5%를 차지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구강악안면외과 김문기 교수는 “턱관절장애는 턱관절과 주위 저작근 등의 이상으로 나타나는 기질적 요인도 있으나 정서적(또는 정신적) 기여 요인 또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라며 “턱관절장애는 스트레스, 불안 또는 우울증 등이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여성 호르몬(에스트로젠)이 턱관절장애의 병인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아직 명확하게 밝혀진 것은 없다”라고 설명했다.

‘턱관절장애’ 질환 인구 10만 명당 진료인원은 2015년 700명에서 2019년 805명으로 15.0% 증가했으며, 남성은 17.1%, 여성은 13.7% 증가했다.

연령별·성별 진료인원은 20대에서 여성 1992명, 남성 1347명으로 가장 높아 정점을 이루고 연령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김문기 교수는 “턱관절장애로 의심 환자는 정확한 진단을 위해 여러 진단 기법을 이용할 수 있고 진단, 분류에 따라 이에 알맞은 치료법 등을 시행해야 한다. 치료법에는 증상에 따라 약물치료 뿐만 아니라 물리치료, 관절세척술 등이 있다”라고 밝혔다.

최근 5년 동안 건강보험가입자의 ‘턱관절장애’ 질환 총진료비는 2015년 311억 1000만원에서 2019년 458억 3000만원으로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2019년 기준 성별 ‘턱관절장애’ 질환 건강보험 구성비를 연령대별로 총진료비를 살펴보면, 20대가 28.3%(129억 8000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30대 16.0%(73억 4000만원), 40대 13.1%(60억 1000만원)순 이었다.

진료인원 1인당 진료비를 5년간 성별로 살펴보면, 2015년 8만 8000원에서 2019년 11만 1000원으로 25.8% 증가했으며, 남성과 여성의 증가율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2019년 기준 진료인원 1인당 진료비를 연령대별로 보면, 60대가 11만 5000원으로 가장 많았다. 남성은 70대에서 10만 5000원으로 가장 높고, 여성은 60대에서 12만 8000원으로 1인당 진료비가 가장 높았다.

2019년 턱관절장애 하위코드별 진료인원 현황을 보면, ‘턱관절 내장증(K07.60)’이 36.3%로 가장 높게 차지했다.

이어 ‘달리 분류되지 않은 턱관절의 통증(K07.63)’이 24.2%, ‘기타 명시된 턱관절 장애(K07.68), 상세불명의 턱관절 장애(K07.69)가 각각 16.0%로 뒤를 이었다.

2015년 대비 2019년에 크게 증가한 하위코드는 ‘턱관절의 퇴행성 관절병(K07.65%)으로 2배 증가한 25,567명이었고, 다음으로 ‘턱관절 내장증(K07.60)’ 및 ‘저작근 장애(K07.66)‘이 2015년 대비 각각 36%, 33%를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