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문규 보건복지부 차관

고령화와 만성질환 증가에 따른 의료비 급증과 증가하는 의료서비스에 대한 수요기대는 전 세계 각국의 보건의료 시스템과 국가 재정에 큰 위협을 주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2018년 고령사회로 진입한 이후 OECD 국가 중 최단 기간인 8년(2026년) 내 초고령 사회로 이행이 예상되며, 의료비 지출 증가율 또한 세계 최고 수준으로 OECD 평균 증가율 2.3% 대비 4배가 넘는 9.3%를 기록하고 있어, 2060년경 국민건강보험 재정 적자가 132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한편, 다수의 환자에게 동일한 진단·치료가 제공되는 현재의 경험적, 표준적 치료는 일부 환자에게는 효과가 전혀 없거나 심각한 부작용을 유발하는 한계를 갖고 있다. 이에 개인의 유전정보에 기반하여 맞춤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전체 의학(Genomic medicine), 체중, 운동량, 맥박 등 건강 및 생활습관 정보를 활용한 모바일 헬스케어 기술, 정보통신기술(ICT)과 의료의 융복합 기술 등 선진국 중심으로 의료의 효율성을 높이고, 신산업을 창출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들이 다수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신기술의 개발은 현재의 경험적, 표준적 의료를 대규모 정보와 지식에 근거한 과학적 의료로 전환하고, 질병 치료 중심에서 질병을 사전에 예방하는 환자별 맞춤형 건강관리로 의료 혁신을 선도하고 있다.

정밀의료는 이 보건의료 혁신을 실현할 수 있는 기술로서 미국 등 주요 선진국은 정밀의료 분야에 많은 연구비를 투자하거나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

미국 오바마 대통령이 2015년 연두교서에서 2016년 2.2억 달러(약 2600억원) 투자를 골자로 하는 정밀의료 구상(Precision Medicine Initiative)을 발표한 바 있고, 영국은 2014년부터 영국인 10만명 유전체분석 프로젝트(Genomics England)에 3억 파운드(약 5140억원)를 투자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매우 우수한 의료 인력과 세계 최고 수준의 ICT 기술, 국가바이오뱅크, 전국민 건강정보 DB 등 정밀의료 산업을 주도할 충분한 잠재력과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보건복지부는 지난 1월 ‘바이오헬스 7대 강국 도약’ 을 위한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 방안을 발표하고, 이의 세부 과제인 정밀의료 산업화 추진을 위해 ‘정밀의료 발전위원회’ 를 구성, 체계적, 효율적 ‘정밀의료 종합 발전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적극적 움직임을 개시했다.

발전위원회는 정밀의료와 관련된 국내외 정책, 연구개발, 산업, 인프라 등의 제반 환경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환경에 가장 적합한 정밀의료 모델을 만들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새로운 투자 발굴과 함께 기존의 인프라와 연계·통합하는 방안 등 최적의 추진전략을 수립할 계획이다.

보건복지부는 ‘정밀의료 발전위원회’ 출범을 정밀의료 산업화의 시발점으로 삼아 국가적 연구 역량을 결집하고, 미국 등 선진국과 협력을 통해 정밀의료 세계 시장 선점과 함께 정밀의료를 우리나라의 미래 성장동력으로 육성하고, 의료비 절감을 통한 보건의료 시스템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