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재천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전무
우리나라 제약기업과 바이오테크기업의 신약 연구개발 경쟁력에 대한 변혁이 요구되고 있다. 기업들은 자금난에 시달리면서 신약연구개발 임상자금 확보를 위해서 전 임상 및 임상시험단계에서 해외기술 수출을 조기에 시도해야 하는 현실에 직면해 있다.

연구기관별 신약개발 프로젝트 진행단계를 살펴보면 외부적으로는 신약개발 관련 기관들 간에 전주기 연구개발 단계별 역할분담이 필요하고, 내부적으로는 대학과 기업, 연구소와 기업 등 기관 간의 기술이전이나 협동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글로벌 시장 경쟁력을 갖춘 혁신신약개발의 추진을 위해서 소요되는 제반 인프라 여건과 제휴, 협력 등에 관한 경험을 단기간 내에 기업이 확보할 수는 없다. 보다 효율적인 연구개발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국가지원시스템과 혁신신약개발의 인큐베이션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신약개발은 전주기에 걸쳐서 다학제적인 연구개발로 진행된다. 외부 기술과 기술 보유기관들과의 시공을 초월한 실시간 상생협력을 자유자재로 구사할 수 있는 오픈이노베이션 전략이 신약개발 전략의 핵심으로 자리잡고 있다.

혁신 신약 파이프라인의 지속적인 발굴을 위해서 최적화(선도물질~후보물질)된 인프라 구축이 절실하다.

글로벌 혁신신약개발의 과반수 이상은 바이오테크 기업이나 대학교의 연구로부터 도출되고 있다. 대학과 연구소가 보유한 초기 물질에 대한 최적화 지원을 통해서 신약 파이프라인의 공백을 해소해야 한다.

2011년 국내 제약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향후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제약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법률 제10519호)이 공포되었고, 이를 통해 필수적인 혁신성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제약산업을 육성하고 지원할 수 있는 제도 기반이 마련되었다.

2013년 11월 6일 미래창조과학부는 BT분야 투자전략 보도자료를 통해서 창의적 혁신신약 개발을 위한 산학 협력체계 강화를 위하여 개방적 공동연구 체계를 구축하여 외부의 우수한 기초성과에 대한 최적화 공동연구 지원 및 성과 공유를 지향하는 오픈 이노베이션의 토대를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를 성공적으로 실행하려면 정부는 부처별 역할분담에 신중해야한다.

미래부는 과학기술진흥을, 산업부는 의약품산업 육성을, 복지부는 합리적인 약가규제개혁에 주력해야 한다.

부처별 출연예산과 전주기에 걸친 우리나라의 신약개발 역량을 총 결집하여 글로벌 임상시험과제를 적극적으로 지원해야한다.

우리나라 제약산업은 인구가 감소하고 있고 약가규제 등 건강보험 환경이 열악하기 때문에 글로벌 제약산업으로 성장할 수는 없다. 그러나 글로벌 혁신 신약개발을 통해서 다국적 제약기업이 탄생함으로써 국부가 창출될 수는 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