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장 율동 장애 (Disorders of Cardiac Rhythm)

기외수축(Extrasystole): 다음의 정상 박동이 이르기 전에 이소성 (ectopic) 내지는 조발성의 박동이 발생한다. 어떤 경우에는 심질환과 관련있지 않으나 심근 경색 후에 급성 류마티스성 내막염, 갑상선 기능 항진증, 디기탈리스 과량 복용시 일어날 수 있다.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 심방이 조화되지 않은 형태로 매우 빠르게 수축한다. 심실은 불규칙한 속도의 수축과 힘을 내는 이들 자극 파동의 일부에만 반응한다. 많은 형의 심질환에서 발생할 수 있으나 특히 류마티스성 심질환과 관상 동맥 질환, 갑상선 기능 항진증에서 일어난다.

발작성 심방 빈박(paroxysmal atrial tachycardia): 각 자극 파동에 반응하는 심실에 의한 빠르고 정기적인 심방 수축이다. 일반적으로 내재되어 있는 질환과 관련이 없다.

심블록(Heart block): 심장의 전도 기전에 손상이 일어난 것으로 불완전하면 심방으로부터의 일부 자극 파동은 심실에 도달하지 못하여 박동이 소실된다. 만약 완전하다면 심방과 심실은 독립적으로 수축한다. 특히 관상동맥 질환이나 디기탈리스 과용 시에 발생할 수 있다.

심실 세동(ventricular fibrillation): 심근 경색후 부정맥 시에 흔히 발생하는 것으로 심실의 수축이 매우 빠른 것이다. 전기 심박 기록기가 다양한 부정맥을 구분한다.

동맥 색전증(arterial embolism): 색전은 혈류에 운반된 고형 물질이나 공기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좌측 심장부로부터 제거된 영양 물질이나 혈액 응고물의 결과로 생성되며 혈류를 통해 원위 기관(뇌, 사지, 동맥, 신장 등)으로 운반된다. 혈액응고물은 심근경색후나 승모 협착증일 때 심장에 형성될 수 있다. (영양물질은 아급성 세균성 내막염에서 색전이 될 수 있다.)

폐색성 혈전 혈관염(thromboangitis obliterans ; Burger’s disease): 염증성의 폐색성 혈관질환으로 말초 동맥과 정맥에 영향을 준다. 흡연이 병인이다. 심각한 경우 괴저(gangrene)로 진행될 수 있다.

▶ Raynaud 질환
손과 손가락의 동맥이 주기적으로 경련이 일어나는 것으로 처음에 푸른 빛을 띄다가 흰색으로 다음은 죽은 색이 된다. 민감한 개인의 경우 추위에 의해 악화된다.

▶ 정맥에 관련된 질환
1)정맥염(phlebitis): 감염이나 손상의 결과 내지는 자발적으로 일어나는 정맥의 염증으로 표면 정맥 내지는 심 정맥에서 일어난다. 후자는 심 정맥 혈전증 (deep vein thrombosis)으로 진행될 수 있으므로 더 위험하다.

2)정맥성 혈전증(venous thrombosis): 중요한 수술후 휴지기, 울혈성 심부전 (congestive cardiac failure)과 같이 정맥 순환이 느려지는 경우 언제라도 발생할 수 있다. 경구 피임제도 또한 심 정맥 혈전증의 원인이 된다. 혈전증은 흔히 장딴지의 심정맥에서 발생하며 혈액 응고물이 제거되면 그들은 폐로 운반되어(폐 색전증) 때로는 치명적인 결과를 낳기도 한다.

3)쇼크 (shock): 순환 부족에 의한 창백한 모습, 발한, 빈맥, 불안 등이 나타난다. 이 용어는 주로 다량의 혈액 손실과 관련하여 사용하지만 심근 경색, 폐 색전증, 심막 질환과 같이 심장에 큰 장애를 일으키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주로 사용되는 검사 과정(혈액과 순환계에 관련된 질환)

혈액

1. 혈액 필름 검사, 헤모글로빈 평가, 적혈구 세포수

2. 분화된 백혈구 수를 포함하는 백혈구 수

3. 혈소판 수

4. 적혈구 침강 속도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ESR)

5. 프로트롬빈 응고 속도 ; 응고와 출혈 시간

6. 흉골 천자 (골수 생검 ; sternal punture)

7. 적혈구 취약성 검사 (Red Cell fragility test) (선천성 용혈성 빈혈)

순환계

1. 혈압계(sphygmomanometry)를 사용한 혈압 측정

2. 전기 심박기록계(Erectrocardiography: ECG): 외부 전극에 의해 심근 수축과 관련된

전압차를 그래픽으로 기록할 수 있다.

3. 흉부의 X-ray: 심장의 모양과 크기를 평가하고 울혈성 심부전시에 존재하는 액체의

양을 측정한다.

4. 심장 카테터법(Cardiac catheterisation); 말초 정맥이나 동맥으로 카테터를 삽입하여

심장의 우측이나 좌측부위로 전달된다. 라디오-비투과성 염색으로 구조를 규정짓고

카테터는 정확하게 내부 심장압을 측정하도록 사용된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