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대학병원ㆍ부산대병원, 사업비 부담...투자에 난색

부산 기장군 장안읍 방사선의과학단지에 세워질 중입자가속기 치료센터 사업이 계속 표류하고 있다.

▲ 중입자가속기 치료센터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원자력의학원, 부산시, 기장군 등은 지난 21일 부산대병원에서 공청회를 갖고 중입자가속기 정상화 방안을 논의했으나 뚜렷한 대안을 찾아내지 못했다.

이 사업의 시작은 2010년 4월 부산시와 한국원자력의학원이 업무협약을 체결하면서부터. 국내 연구진이 중입자가속기를 개발하고 2016년 임상 테스트를 거쳐 2017년부터는 본격젹인 운영에 들어갈 계획이었다.

예산은 총 1950억 원으로 미래부가 700억 원, 한국원자력의학원 750억 원, 부산시와 기장군이 각각 250억 원을 부담하는 것으로 했다. 하지만 원자력의학원이 분담금 마련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차질이 생겼다.

의학원은 당초 민간투자를 받아 재원을 확보한다는 계획이었으나 실패했다. 이에 미래부 등은 부산지역 4개 대학병원이 400억 원을 투자하고 350억 원은 원자력의학원이 차입해 충당하는 안을 제시했다.

병원장들은 지난 8월 회동을 갖고 내용을 협의했지만, 결론은 어렵다는 것이었다. 2020년 연세의료원이 중입자가속기 도입을 예정하는 데다 여러 여건상 100억 원의 사업비는 부담이라는 의견이 나왔다.

상황이 원점으로 돌아가자 미래부는 부산대병원에 손을 내밀었다. 전호환 부산대병원 이사장은 지역의 미래발전을 위해 국립대병원이 중입자가속기사업에 참여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는 입장을 냈다.

부산대병원과 양산부산대병원은 긴급 교수회의를 열고 이 문제를 논의했다. 그러나 절대다수의 교수들은 반대하고 나섰다.

두 병원 모두 1천억 원이 넘는 빚이 있는 상황에서 수백억 원을 투자해야 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무리라고 지적했다. 또한, 그럴 경우 앞으로 병원을 운영해 나갈 후배들에게 엄청난 짐이 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이같은 교수들의 의견은 공청회에서도 전달됐다.

부산대병원 관계자는 "국립대병원이라는 명분으로 감당하기 어려운 과제를 떠안아야 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이 사업을 국가R&D사업으로 전환해 정부가 추진하는 것이 옳은 방법"이라고 말했다.

결국, 공은 다시 미래부와 원자력의학원으로 넘어갔다. 하지만 새로운 방안이 나올지는 미지수다. 미래부는 부산에서의 투자 유치가 기대에서 멀어짐에 따라 이를 전국으로 확대하는 계획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