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생제 8종에 반응 없어…‘내성균 발현 관리 철저히 해야’

다제내성균을 뛰어넘을 정도로 항생제 내성 정도가 심각한 폐렴구균이 국내에서 최초로 보고됐다. 이러한 폐렴구균은 해외에서도 아직 보고된 사례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 강철인 삼성서울병원 감염내과 교수
강철인 삼성서울병원 감염내과 교수팀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을 미국질병관리본부(CDC) 학술지를 통해 발표했다.

강철인 교수팀에 따르면 지난 2011년과 2012년 사이 폐렴구균 보유 환자 510명 중 5명이 기존 치료법에 쓰이던 항생제 8종(페니실린, 세파로스포린, 매크로라이드, 퀴놀론, 클린다마이신, 테트라사이클린, 트리메소프림-설파메톡사졸, 카바페넴)에 전혀 반응을 보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5명은 일반적으로 폐렴구균 환자에게서 잘 쓰이지 않는 반코마이신이나 리네졸리드 계열 약물 등 2가지 종류의 항생제에만 미약한 반응이 있는 정도였다.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71.8세로, 뇌혈관 질환과 같은 신경계 질환이나 운동장애 등을 앓고 있었다.

3명은 요양기관에서, 2명은 다른 병원에서 각자 석 달 여간 항생제를 포함한 치료를 받다 상태가 심각해지자 삼성서울병원으로 전원됐다.

모두 건강 상태가 나쁜 노인이고, 장기간 항생제 치료를 받으며 내성균에 노출될 위험을 키웠다는 공통점을 보였다.

특별한 이름 없이 학명으로만 알려진 이 균주는 지금까지 위험하다고 알려진 ‘다제내성균’보다 항생제가 듣지 않는 범위가 넓고 치명적이라고 연구팀은 전했다.

특히 이들 중 1명은 광범위 내성균이 병의 직접 원인이었던 탓에 병원 입원 7일 만에 패혈증으로 숨질 정도로 병세가 빨랐던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팀은 나머지 환자들도 기도삽관을 했던 호흡기 계통에서 균이 발견됐단 사실에 비춰보면 언제든 몸속 전체로 균이 퍼져 생명을 앗아갈 수 있을 정도로 위협적이라고 분석했다.

이 때문에 강철인 교수팀은 보고서에서 의료진의 철저한 주의를 당부했다.

강 교수는 “장기 요양시설처럼 많은 사람들이 모여 생활하는 곳의 환자들을 치료할 때는 광범위 내성균을 보유하고 있을 수 있다는 것을 반드시 염두에 두고 치료에 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광범위 내성균으로 인한 환자들의 피해를 줄이려면 성인에게서도 폐렴구균 백신을 접종하는 것을 적극 장려해야 한다”며 “또한 사회 전체로 확산되지 않도록 항생제 사용을 신중히 하고, 내성균 발현을 관리, 감독하는 시스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필요하다”고 덧붙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