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성모병원 성필수 교수팀, ‘간세포암환자 조직샘플 분석’
면역글로불린A 간 내 섬유아세포 결합…T세포 기능 약화로 이어져

[의학신문·일간보사=정광성 기자] 국내 교수팀에 의해 간암의 암연관섬유아세포가 면역 단백질인 면역글로불린 A와 결합해 면역반응을 억제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서울성모병원(원장 윤승규)는 최근 소화기내과 성필수 교수<사진>팀(간담췌외과 최호중 교수‧가톨릭대 의생명건강과학과 석사과정 박종근 학생)이 간내 축적된 면역글로불린 A가 간세포암 주변 미세환경에 존재하는 암연관섬유아세포에 영향을 줘 면역세포인 T세포의 기능을 약화시키는 기전을 규명했다고 18일 밝혔다.

교수팀에 따르면 암연관섬유아세포는 종양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섬유아세포로 종양미세환경에서 암의 진행과 전이를 촉진할 뿐 아니라 치료약물의 전달을 방해하고 저항성을 유발해 암 치료를 어렵게 한다.

최근 간세포암의 암연관섬유아세포가 항암제 렌바티닙과 소라페닙 치료의 내성을 유도하며, 여러 표현형이 존재한다는 것이 밝혀지만 유방암‧췌장암 등 여러 암에서 암연관섬유아세포의 역할은 많은 연구 활동으로 알려진 반면, 여전히 간세포암 분야에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었다는 것.

이에 교수팀은 서울성모병원에서 간세포암 치료를 받은 환자의 조직샘플을 분석했다.

그 결과, 세균‧바이러스와 같은 외부 물질로부터 신체를 지키기 위해 만들어지는 5종류의 면역체계인 면역글로불린 중 A(타액‧소화액 등 함유)가 증가했으며, 간 내 섬유아세포에 결합됐다. 이로 인해 섬유아세포가 면역 억제 기능이 증가하는 표현형으로 분화했다.

이는 항종양 면역 반응을 담당하는 T세포 기능 약화로 이어져 간암의 발생 및 면역 치료에 좋지 않은 반응을 유발하게 된다는 것.

이번 연구는 간세포암에서 암연관섬유아세포의 형성 기전 및 특성을 규명한 만큼, 이를 제어하는 새로운 면역항암제 치료 전략이 기대된다는 게 교수팀의 설명이다.

성필수 교수는 “축적된 간내 면역글로불린 A는 면역 억제를 조절하는 새로운 메커니즘이며 간세포암의 발전 및 전이의 핵심 요인일 수 있다”며 “환자의 간암조직을 실제로 이용한 이번연구로, 암연관섬유아세포의 항종양 면역기능 약화 기전이 최초로 규명된 만큼, 간암에서 면역치료 반응율을 높이려면 암연관섬유아세포 제거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소화기학과 간학 분야 국제학술지 ‘간장학(If: 14.0)’에 지난 2월 15일자로 온라인에 게재됐으며, 서울성모병원 리더연구자 연구비, 한국연구재단 개인기초연구의 지원으로 진행됐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