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적 M&A·공장 대형화 등 규모의 경제 실현해야
단기 특수제형 퍼스트 제네릭·중장기 글로벌 브랜화 등 필요

[의학신문·일간보사=김정일 기자] 국내 제네릭 의약품의 수출 활성화를 위해선 특화된 제네릭 개발과 함께 전략적 M&A 등을 통해 규모의 경제를 실현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가 29일 발표한 글로벌 이슈 파노라마에서 동덕여대 약학대학 유승래 교수는 ‘국내 제약산업 선진화를 위한 제네릭 의약품 수출 활성화 방안’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유승래 교수는 글로벌 제약시장은 의료기술을 선진화하고 재정지출 합리화를 통해 품질이 우수하고 안정적 공급 가능한 제네릭 의약품의 시장요구가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하면서 전통적 제네릭 기업과 글로벌 신약 기업들도 위임형 제네릭 제휴 등 시장 방어를 강화 중이어서 국내 기업도 선제적이고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에 “단기적으로 집중해야 할 전략은 타깃 중점국에서 일정수준 시장성이 확인되면서도 K-제네릭의 제품개발 기술력 및 품질 강점을 발휘할 수 있는 특수제형 위주 퍼스트 제네릭 진출”이라며 “중장기적으로는 일반 제네릭과 차별화를 위한 고부가가치 제네릭 개발이 필요하며, 글로벌 브랜드화 및 다양한 시장진출을 통한 경쟁력 강화로 고객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기업 운영에서는 전략적 M&A와 파이프라인의 효율적 통합·정비를 통해 내수에서부터 비용효과적 생산·유통 구조를 마련하고 공장 대형화 등 규모의 경제를 실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실제 테바, 선파마 등 글로벌 제네릭 기업은 초기에 자국 기업 인수, 내수에서 일정 규모 달성 후 해외 현지기업 인수로 파이프라인을 보완해 규모의 경제를 구축했다는 것이다.

유 교수는 총 매출액 규모와 별개로 기업별 비즈니스 모델과 전문영역을 고려해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내놨다.

이를 위해 △CDMO 형태에서 점차적으로 개발 난이도를 높이고 영업/마케팅 조직을 갖춰 빅파마로 성장하는 자본집약적 CDMO형 모델 △자본력이 부족한 경우에도 특화된 시장을 목표로 하여 R&D, 임상, 제조, 판매 등 하나의 일관된 통합제약기업 형태에서 각 부문을 외부 위탁하는 형태로 성장해나가는 특화시장 집중형 모델 △ 신기술에 기반한 파이프라인에 주력하여 후기 개발 단계 이전에는 라이선싱을 고려하는 First In Class형 모델 등을 제시했다.

그는 “기업의 제품 개발 및 전략 수립뿐만 아니라, 국내외 규제 환경 개선과 조화, G2G 협력 강화, 글로벌 생산·유통 네트워킹 지원 등 정책적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며 “북미, 유럽, 아시아 선진국가의 높은 규제 수준은 개별 기업들의 자체 노력만으로 극복이 어려워 정부 차원의 국제 조화 지원이 필요하며, 특히 선진 제조·생산 인프라 지원, 해외진출 지원과 성과 공유, 국제의약품 표준화 등 정책 지원과 실질 수혜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유승래 교수는 “향후 규제정책 선진화·가격 경쟁력 강화·글로벌 네트워크 구축을 주요 지향점으로 삼아, 기업은 국내외 제네릭 시장 현황과 중점국가 제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자사의 강점을 발휘할 수 있는 유망품목을 발굴한다”고 밝혔다.

또한 “정부는 기업들이 글로벌 진출에 필요한 역량을 제고할 수 있도록 교육·네트워킹 등 정책 지원을 강화하고 K-제네릭의 국제 조화가 이뤄질 수 있는 방향으로 관련 제도가 운영돼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