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UR 알림, 처방 제한, 약가 인상 등 유기적 공급 방안 강조

[의학신문·일간보사=유은제 기자]정부가 의약품 수급 불안정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현장조사를 실시하고 대응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나섰지만 약 97% 이상의 약국이 의약품 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처방 제한, DUR 알림 등 현실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한약사회 민필기 약국이사<사진>는 17일 출입기자 브리핑을 통해 약사회에서 진행한 ‘장기적이고 심각한 수급 불안정 의약품 대책 마련을 위한 회원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약사회는 2023년 12월 20일부터 22일까지 전국 개국약사 회원 2만 253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했으며 이 중 2790명이 참여했다.

약국 90% 이상 5개 품목 의약품 수급 불안정

조사 결과 ‘약국의 수급 불안정 의약품은 몇 품목인가’라는 질문에 11개 이상이 37%(1040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7~10개가 30%(844명), 3~6개가 30%(835명)로 뒤를 이었다.

민 이사는 “90%가 5개 품목 이상의 의약품이 부족하다. 약사회가 나서 균등 공급을 했음에도 수급 불안정을 해소할 만한 물량이 되지 않았다고 해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대한약사회에서 진행하고 있는 의약품 균등 공급 사업이 수급 불균형 해소에 도움이 됐다고 생각하냐’는 물음에 별로 도움이 되지 않았다는 36%(1021명)였으며 보통이다 27%(742명), 그렇다가 23%(632명)를 기록했다.

의약품 균등 사업의 불만족 이유에 대해 대부분 균등 공급 의약품 수량이 적다고 답변해 의약품 균등 공급 사업의 시행 빈도 및 약국당 공급 물량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84%(2333명)는 균등 공급을 지속하고 품목을 확대해달라고 요청했다.

‘균등 공급이 필요한 1순위 제품’에 대해서는 슈다페드 등(코감기약)이 31%(855명)로 가장 많았으며 이모튼이 21%(592명), 듀락칸이지 13%(370명), 툴로부테롤 패치 1mg가 8%(223명)였다.

민 이사는 “균등 공급이 필요한 1순위 의약품에 슈도에페드린 제제가 31%로 약가 인상 후에도 여전히 공급이 부족하다”며 “이모튼, 듀락칸이시 시럽, 기관지 패치 및 항생제 등이 가장 대응이 시급한 수급 불안정 의약품으로 꼽혔다”고 말했다.

수급 불안정 해소 위한 처방 제한 절실

지역 약국들은 수급 불안정 의약품의 경우 정부가 적극 개입해 처방일수를 제한하는 조치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수급 불안정 의약품 처방일수와 처방수량을 제한하는 데 찬성하는가’라는 물음에 83%(2318명)가 찬성했으며 공급에 한계가 있는 만큼 수급 불안정 의약품의 처방단계에서도 정책적 조치가 이뤄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 ‘장기 처방을 제한한다면 며칠 이내 제한에 찬성하는가’ 물음에 1인당 장기 처방일수를 60일 이내로 제한해야 한다는 답변은 70%(1961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제한 반대 16%(427명), 처방일수 제한은 환자나 의료진의 판단이므로 필요 없다는 답변은 10%(283명)였다.

이어 84%(2352명)가 처방일수 제한에 앞서 DUR 알림을 통해 품절 약품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처방변경이나 동일성분 조제 시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고 답해 해당 제도 도입의 필요성이 강조됐다.

의약품 수급 불균형 현상에 대해 병‧의원과 약국의 협조는 비교적 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급 불균형 의약품을 동일성분 조제하거나 처방 변경 요청 시 주변 병‧의원에서 협조적인가’라는 물음에 73%(2040명)가 협조가 잘 되는 편이라고 답했다.

또 ‘특별한 사유 없이 동일성분조제 불가를 처방전에 기재해 발생하는 병‧의원이 주위에 있냐’는 물음에 없다는 답변이 62%(1734명)였으며 38%(1056명)는 여전히 특별한 사유 없이 동일성분조제 불가를 처방전에 기재한다고 밝혔다.

‘동일성분조제를 환자에게 설명할 때 잘 수긍하는가’라는 질문에 환자의 90% 이하가 수긍하고 동일성분조제에 거부감이 없다가 28%(790명), 환자의 70% 이상이 수긍하고 동일성분조제에 거부감이 없다가 29%(812명), 한자의 50% 이상이 수긍하고 동일성분조제에 거부감이 없다가 23%(628명)였다.

이이 민 이사는 “환자의 대부분이 동일성분조제에 거부감이 없어 동일성분조제 사후통보 간소화만 가능하다면 특정 의약품 쏠림 현상은 다소 완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수급 불안정 의약품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회원들이 생각하는 해법’의 질문에 저가약 약가인상을 통한 생산증대가 53%(1468명)로 가장 많았으며 제약사 비축물량 확대를 위한 정부지원 24%(674명), 유통 불균형 해결을 위한 균등 공급이 23%(648명)였다.

민필기 이사는 약사회 차원의 수요 조사를 통한 균등 공급에 대한 한계를 지적하고 수급 불안정 해결을 위한 처방 제한 제도 및 약가 인상 등 정부의 적극적 개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민 이사는 “수급 불안정 의약품 발생 시 일차적으로 DUR을 통한 병‧의원 알림과 처방 제한 제도 도입이 필요하며 유통에서도 공급 쏠림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기적인 공급 방안이 시행돼야 한다”며 “의약품 수급 불안정 사태의 가장 큰 원인은 수요에 미치지 못하는 공급 부족으로 제약사 생산 동기를 올려주고 정부에서 적극 개입해 필수의약품 생산을 강제하는 제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