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충동적‧경제적 원인별 관리…24시간 주 7일 운영 목표로 공간‧인력 확대할 것
구로병원 윤영훈 센터장 “자살시도자 관리 의료진 사명감‧의지만으로 안돼”

[의학신문·일간보사=정광성 기자] 고대구로병원이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사업 운영을 통해 자살시도자들의 손을 잡는다. 이를 위해 관리 시스템을 더욱 공고히 하겠다는 방침이다.

고려대학교구로병원 생명사랑위기대응센터 윤영훈 센터장<사진>은 최근 의학신문과의 인터뷰를 통해 이 같은 계획을 밝혔다.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사업은 자살시도자의 응급실 내원 시, 면담을 통해 사업 참여에 동의를 받고, 응급의학과‧정신건강의학과 의료진과 사례관리자로 구성된 사례관리팀이 협업을 통해 적절한 치료와 상담을 제공하고, 지역 정신건강복지센터와 연계해 추후 자살시도 재발을 예방하는 사업이다.

지난 7월 고대구로병원은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 운영에 필요한 사례관리팀 사무공간을 미래관 오픈과 함께 확보하면서, 보건복지부로부터 수행기관으로 선정된 바 있다.

윤영훈 센터장은 공간부족 문제를 해결하면서까지 사업에 참여하는 이유를 서울서남권역을 책임지는 권역응급의료센터로써 의무감‧사명감이라고 꼽았다.

윤 센터장은 “고대구로병원이 서울서남권역 권역응급센터다 보니 자살시도자들이 많이 온다. 외상적인 치료만 받고, 자살 재시도로 내원하는 것에 안타까움이 있었다”며 “지역을 책임지는 중증외상 최종치료기관으로써 우리가 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의무감‧사명감으로 참여하게 됐다”고 말했다.

현재 센터에는 윤영훈 센터장(응급의학과)을 중심으로, 지수혁 부센터장(정신건강의학과)을 비롯한 2명의 사례관리자가 팀을 이뤄, 면담‧진료 등 의료서비스 제공은 물론 지자체와 연계한 경제적인 도움까지 지원하고 있다.

특히 사례자를 발굴하고 리뷰를 통해 상담 시 사례자에게 어떻게 접근할 것인지, 어떤 이야기를 조심해야 하는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들의 조언 등을 통해 도움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그는 이 같은 노력을 통해 응급실에서 자살재시도가 줄어들고 있는 것을 피부로 느끼고 있다고 언급했다.

윤영훈 센터장은 “자살시도자는 20~30배 정도 재시도할 확률이 높다. 그 동기는 정신과적인 문제만은 아니고 순간 못 이긴 화부터 경제적 문제 등 복합적”이라며 “사업을 통해 치료비용 제공 및 정신과적 치료‧면담을 통한 위안 등을 받을 수 있어 현장에서 자살 재시도자가 줄어들고 있는 것을 피부로 느끼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복지부가 올해 8월 발표한 사업결과에 따르면 사례관리를 완료한 1만1321명 중 자살위험도가 높은 사람의 비율이 15.6%에서 6.5%로 약 60% 감소하는 효과가 나타났다.

낮은 사업 참여 동의율, 홍보‧시스템 공고화로 해결

<br>

하지만 이 같은 효과에도 불구하고 30~40%의 낮은 사업 참여 동의율은 해결해야 할 문제로, 사업에 대한 홍보의 필요성을 지적하기도 했다.

윤영훈 센터장은 “사후관리인 만큼 지자체와도 연계해 경제적 도움은 물론 네 번의 상담 관리가 진행되는 것이지만 단순 정신건강의학과 진료 권유로 오해하는 부분이 있다”며 “오해를 풀고 동의율을 높이기 위해 사업에 대한 홍보가 더 진행됐으면 좋겠다”고 제언했다.

또한 윤 센터장은 사업참여 동의율을 올리기 위해 센터의 시스템을 공고히 하겠다는 의사를 피력했다.

그는 “인력 확충‧공간확장을 통해 지속적인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공고히 할 계획”이라며 “이를 위해 2026년 예정된 응급의료센터 확장 시 독립적인 공간을 제시하고, 사례관리자도 5명으로 확충해 24시간 주 7일 운영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윤 센터장은 “다만 야간근무 등으로 피로도가 높은 만큼 사례관리자가 7~8명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며 “이 부분에 대한 지원책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끝으로 윤영훈 센터장은 자살시도자들의 손을 잡아주기 위해 제도화된 사회안전망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윤 센터장은 “자살시도자 대부분 누군가 손을 잡아주길 바라고 있는 사람들”이라며 “그들의 손을 잡아줘야한다. 의료진의 사명감‧의지만으로는 지속이 불가능한 만큼 이번 사업과 같이 공공의료측면에서 제도화된 사회안전망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