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의료체계 중증질환 치료 선진국 수준…사회 복귀 위한 재활 관리 부족
국내 DTx발전, 개발분야 다각화‧시장진입 전략 명확화‧실효성 있는 지원 필요

[의학신문·일간보사=정광성 기자] 중증질환자의 빠른 사회 복귀를 위해 재활치료에 디지털 치료기기(이하 DTx)를 활용한 플랫폼을 개발‧운영해야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은 최근 ‘KEIT 이슈리뷰-중증질환 경험자 일상 회복 지원 헬스케어 기술’을 통해 “조기 전문 재활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DTx를 활용한 ICT 접목 서비스 플랫폼 개발을 지원해야 한다”며 “급성기 치료 후부터 재활치료에 사회 복귀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모델을 개발 후 전 국민에게 확산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평가원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중증질환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통계청의 자료에 의하면 2021년 기준 국내 3대 사인은 암‧심장질환‧폐렴 등 중증질환이 전체 사망의 43.1%를 차지했다.

현재 국내 의료체계에서 중증질환에 대한 치료는 선진국 수준으로 효과적으로 제공 중이나, 퇴원‧치료 종료 후 일상생활에 대한 관리는 부족한 실정이며, 주요국 대비 한국은 의료비에서 공공 재원이 차지하는 비중이 작아 가계의 의료비 부담이 크며, 중증질환 가구의 경제 활동 추이는 경증에 비해 빈곤계층으로 이동 확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19년 주요 경상국 재원별 비중 (출처:OECD Health Statistics 2020, 우리나라의 건강보험제도 특징과 시사점 KIRI리포트 재구성)
2019년 주요 경상국 재원별 비중 (출처:OECD Health Statistics 2020, 우리나라의 건강보험제도 특징과 시사점 KIRI리포트 재구성)

실제 OECD의 2020년 자료를 살펴보면 2019년 국내 경상 의료비 중 공공 재원이 차지하는 비중은 60.8%로 OECD 회원국 평균인 74.0%에 비해 낮으며, 가계가 직접 부담하는 의료비는 31.4%로 회원국 중 6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평가원은 “의료기술의 발전으로 생존성은 높아졌으나 재활 과정에서 의료체계 지원이 부족해 사회 복귀는 제자리인 실정으로 이로 인한 인적자원 손실이 크다”며 “의료재활‧사회 복귀 지원을 강화해 신속한 건강 기능‧일상 회복 지원함으로써 사회 복귀율을 높여 중증질환자의 삶의 질은 높이고, 사회적 부담도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조언했다.

특히 평가원은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단으로 DTx를 주목했다.

이어 평가원은 “중증질환 경험자와 가족들을 위한 예방‧관리‧치료 DTx 분야는 아직 블루오션인 만큼 적극적인 시장진출 노력이 필요하다”며 “이는 인구감소 시기에 국가 경쟁력 저해 요소를 해결하는 수단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DTx는 장기적‧지속적인 사용과 실시간 환자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개발 비용은 신약의 약 3조 원 대비 100억~200억 원으로 절감할 수 있다. 개발 기간 역시 신약이 10~15년이지만 DTx는 3.5~5년으로 단축할 수 있어 다양한 적응증을 대상으로 개발이 진행 중이다.

글로벌 디지털헬스케어와 디지털 치료기기 시장 규모<br>출처: Statista, 삼정KPMG경제연구원 자료 재구성)
글로벌 디지털헬스케어와 디지털 치료기기 시장 규모
출처: Statista, 삼정KPMG경제연구원 자료 재구성)

이 같은 장점으로 글로벌 디지털 치료기기 시장은 2019년~2025년 사이 연평균 20.5% 성장해 89억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독일 여론조사기관 Statista는 전망했으며, 현재는 미국 아킬리 인터렉티브 ADHD 치료 DTx‧한국 에임메드 불면증 DTx 솜즈 등 대부분 정신질환과 관련된 기술 개발‧시장 개척이 이뤄지고 있다.

평가원은 중증질환자 재활에 DTx를 활용하기 위해 산업 발전을 위한 업계의 개발 분야 다각화와 구체적인 시장 진입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평가원은 “개발사 및 대학 연구소는 현재 정신질환에 치중돼 있는 연구 트렌드에서 벗어나 다양한 대상의 원천 기술을 확보하고, 연구단계의 개발목적‧비즈니스 모델을 명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끝으로 평가원은 이를 뒷받침 할 수 있는 정부의 실효성 있는 각종 지원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평가원은 “정부는 실효성 있는 지원정책 확대‧발전을 위해 DTx 세부 규제체계 정립‧실효성 높은 보험수가 체계 확립을 통한 산업 발전 및 경쟁력 진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