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제약‧바이오 인력양성 통합관리 부재…문제해결 중심 전문인력 정부 양성
보건산업진흥원, 잠재적 해외시장 개척 준비 위한 개도국 인재 양성 교육 필요

[의학신문·일간보사=정광성 기자] 차세대 먹거리 산업으로 제약‧바이오산업이 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정부의 통합 관리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와 주목된다.

보건산업진흥원(집필진: 진흥원 제약바이오산업지원팀 정현주 팀장, 오수인 연구원, 연세대 정진현, 송두나, 장민정 교수)은 최근 보건산업브리프 Vol.370 ‘국내·외 제약바이오산업 전문인력 양성 동향’을 통해 “제약·바이오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지원사업의 통합적 관리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집필진에 따르면 제약·바이오산업은 최근 인구 고령화·만성질환·코로나19와 같은 새로운 질병의 증가 등으로 저성장을 보이는 세계 경제의 기조 속에서도 성장세를 보였다. 의약품의 경우 지난 2020년 기준 국내 생산액은 24조 5700억원으로 전년 대비 10.10% 성장했고, 2011년부터 10년간 평균 5.18%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또한 국내 주요 제약바이오기업 종사자의 전공은 생명과학의 비중이 27.7%, 생명공학 29.4%, 의공학 6.1%, 약학 3.5%였으며, 제품개발 단계에서는 생명과학 분야 48.8%, 생명공학 분야 16.6%로 두 분야가 전체의 65% 이상을 차지했다. 이어 약학이 6.9%, 임상보건이 4.7%, 농림수산바이오시스템이 4.5%로 나타나 다양한 전공의 인력 수요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재 국내 인력양성 프로그램은 교육기관과 MOU를 맺어 일부 중소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분야의 전문인력을 양성해 공급하고 있으며, 수많은 제약‧바이오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인력을 모두 파악해서 공급하는 데는 부족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집필진은 “현재 다양한 제약‧바이오 인력양성 사업과 교육기관이 존재하지만, 통합적 관리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라며 “제약‧바이오 인력양성 사업‧교육기관의 활용도 및 효율성을 높이는 운영방안들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어 “산·학·연·관 협력을 통한 인재 양성 프로그램이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문제해결 중심의 전문 인력양성을 위한 정부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며 “국가차원의 바이오클러스터 조성과 세제 인센티브, 전문인력 양성과 기술교육 세분화, 유연화, 다양함을 가지고 접근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실제 제약‧바이오 강국으로 떠오른 아일랜드와 싱가포르는 세계적 제약사를 유치하기 위해 국가차원의 바이오클라스터 조성, 세제 인센티브와 전문인력 양성 등을 정부가 지원했다.

한편 해외 개도국에 대해서도 인재 양성 교육을 지원해야 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집필진은 “제약‧바이오산업의 다른 산업과 가장 큰 차이는 국가 규제산업으로 소비자가 직접 구매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국가의 승인이 필요하다는 것”이라며 “처방결정권자인 의료인을 대상으로 하는 홍보가 중요한 만큼 인력양상사업을 통해 잠재적 해외시장 개척을 준비하는 것이 매우 유익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제약‧바이오 산업은 복지산업으로의 정책상 상징적이고 건강한 노동력을 만들어 다른 산업도 성장할 수 있게 할 수 있어 많은 수혜국에서 전략적으로 우선시하고 있다”며 “이런 의미에서 정부가 WHO와의 협의를 통해 우리나라가 ‘WHO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허브’로 지정받고 중저소득국가의 인력양성을 지원해 글로벌 보건리더국으로 도약을 추진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