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뇌졸중학회, 대형병원 간호사 뇌졸중 사망 비슷한 사례 비일비재
365일, 24시간 작동 중앙-권역-지역센터 뇌졸중 치료체계 구축 시급

[의학신문·일간보사=김현기 기자] 최근 모 대형대학병원 간호사가 근무 중 뇌졸중(뇌출혈)으로 쓰러졌으나, 근무하던 병원에서 골든타임 내 수술이 가능하지 않아 다른 병원으로 이송된 후 끝내 숨지는 안타까운 일이 발생했다.

하지만 이와 비슷한 사례는 의료자원이 부족한 지역을 중심으로 비일비재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제라도 정부가 뇌졸중 안전망 구축에 나서야한다는 학계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최근 대한뇌졸중학회는 “뇌경색 환자의 15~40%는 골든타임이 지난 후 다른 병원으로 이송돼 치료를 시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이는 상급종합병원을 비롯한 대부분의 병원에서 24시간, 365일 작동하는 치료체계를 갖추고 있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대한뇌졸중학회(이하 학회)에 따르면 실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뇌졸중 적정성평가 결과만 보더라도 뇌졸중집중치료실을 갖추고 있는 병원은 233개 중 42.5%로 절반에 미치지 못한다.

학회 차원에서 조사한 결과도 전국 163개 응급의료센터 중에서 30% 이상이 24시간 뇌졸중 진료가 가능하지 않았다는 것. 즉 거의 모든 상급종합병원이 응급수술이 필요한 뇌졸중 환자를 위해 수술장과 중환자실을 바로 준비할 수 없다는 것이 학회 측 주장이다.

학회는 “응급 수술이나 시술에 필요한 인력을 포함해서 급성뇌졸중의 치료에 필요한 인력이 부족한 것은 어제 오늘의 이야기가 아니다”라며 “공인하는 우리나라 최고의 대형대학병원에서도 안타까운 상황이 발생했는데 상대적으로 의료자원이 부족한 지역은 어떠했을지 충분히 짐작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학회는 이러한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365일 작동하는 뇌졸중치료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학회는 “올해 5월 ‘심뇌혈관질환의 예방 및 관리에 대한 법률’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뇌졸중안전망을 구축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는데 무엇보다 중앙-권역-지역센터에 이르는 전달체계를 서둘러 구축해야 한다”며 “적어도 100개 정도의 권역 및 지역센터를 가능한 빨리 지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학회는 “응급의료체계와 심뇌혈관질환치료체계의 연계가 시급하다”며 “지역사회부터 119, 응급실,지역센터,권역센터에 이르는 모두 구성요소가 합심해서 움직일 수 있게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밖에 학회는 근본적인 문제가 되고 있는 만성적인 저수가와 인력부족 등의 해결도 대안의로 제시했다.

학회는 “뇌졸중집중치료실의 수가보다 간호간병통합병동의 수가가 더 높은 현 상황을 방치해선 안 된다”며 “신경과 전문의 당직근무를 늘리는 땜질식 방식은 결국 뇌졸중 전문의 숫자 감소로 이어지기 때문에 전공의 수를 늘리는 방향으로 가야한다”고 조언했다.

끝으로 학회는 “뇌졸중은 골든타임 내 적절한 병원에서 적절한 치료를 시작할 수 있는지 여부가 예후에 결정적 영향을 주는 초급성 질환”이라며 “즉각적인 체계의 개혁 없이는 이번과 같은 안타까운 사고는 또 다시 반복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