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당 인력 305명, 정원의 15% 수준…식약처, '허가심사 인력 충원시 제품화 더 빨라'

[의학신문·일간보사=안치영 기자] 신성장동력으로 각광받는 제약바이오업계지만, 정작 제품화를 위한 필수요건인 허가심사 인력은 부족에 허덕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처 기자단 취재 결과 식품의약품안전처 내 바이오헬스 분야(의약품+의료기기+바이오의약품) 허가심사를 담당하는 인력은 총 305명으로 나타났다.

분야별 심사인력을 보면 의약품심사부 135명, 바이오생약심사부 106명, 의료기기심사부 64명이 근무 중이다.

식약처 공무원이 총 2018명이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정원의 약 15.1% 수준이다.

의사, 약사 등 전문직 출신 공무원도 정원의 13.67% 수준으로 나타났다. 의사 출신 공무원과 공무직은 각각 1명, 19명이며 약사 출신 공무원은 246명, 공무직 10명, 한약사 출신 공무원은 33명이었다.

식약처의 허가심사인력 규모는 타국가와 비교하면 그 부족현상이 두드러진다. 미국 FDA의 허가심사 인력은 8051명, 일본 PMDA는 566명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식약처는 코로나19 백신·치료제 제품화 지원 인력 등을 충원하기 위해 전문임기제 공무원 13명의 경쟁채용을 진행 중이지만, 여전히 식약처 내 허가심사 전문인력은 부족한 상황이다.

심지어 제약업계 내에는 코로나19 백신 허가를 위해 평가원 내 바이오의약품 분야 심사인력의 절반이 담당업무를 불문하고 백신 허가 업무에 차출됐다는 소문도 퍼지고 있다.

이와 관련, 식약처는 지난 2020년 의약품 허가 수수료를 30% 인상해 심사관 추가 채용을 진행한 바 있다.

그러나 식약처 의약품 허가 수수료는 신약 880만원, 제네릭 280만원으로 미국의 신약 허가 수수료 약 31억원, 제네릭 약 2억원과 비교하면 비현실적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식약처 관계자는 “매년 민간경력 채용과 자체 채용을 통해 의사, 약사 등 전문인력을 채용하고 있다”며 “예산을 업체들에 나눠주는 것보다 의사 인력 1명을 뽑는 데 쓴다면 경제적 파급효과 및 환자 혜택이 더 클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한 달 걸릴 심사가 일주일 만에 끝난다면 SK바이오사이언스나 셀트리온의 백신 및 치료제도 더 빨리 시장에 출시될 수 있었을 것 같다”며 “향후 전문인력 충원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