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순환적 기술혁신 생태계·첨단융합바이오 역량 강화 등 주문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대선 캠프에 ‘5대전략 10대과제’ 제안
■2022 대선 후보에게 바란다: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의학신문·일간보사=김민지 기자]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은 ‘바이오헬스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차기 정부의 바이오헬스산업 육성 지원 방안’으로 ‘5대 전략 10대 과제’를 발굴해 차기 정부 대선 후보에게 제안했다.

바이오헬스산업이 국가 안보산업으로서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견인하는 핵심산업으로 발전하기 위한 5대 전략에는 ▲선순환적 기술혁신 생태계 조성 ▲첨단융합바이오분야 역량 강화 ▲ 미래 유망 기업발굴 및 인재 확보 ▲글로벌 스탠다드 제도 및 환경 조성 ▲국가 안보 및 파괴적 혁신 기술개발 대응 등이 포함됐다.

세부과제에는 △바이오클러스터 생태계 조성 △산·학·연·병·관 연계 방안 △첨단바이오의약품 기술전략 △AI·빅데이터 기반 신약개발 생산성 제고 △창업·기술사업화 활성화 △신산업 대응 분야 및 재교육을 통한 인력양성 △규제 선진화 △약가 및 조세 지원 △원료의약품 국산화 지원 △백신 및 치료제 개발 등이 포함됐다.

◇바이오클러스터 생태계 조성
신약조합은 산학관 협력 기반 혁신 바이오클로스터 성공모델 창출 및 글로벌 연계 강화를 통해 지속가능 자족형 특화성장 모델 필요하고 제언했다. 이를 위해 △컨트롤 타워로서의 역할 강화 △구성주체 간 연계협력 가치사슬 강화을 통한 혁신창업 지속 창출과 성장체계 △글로벌 기업 유치를 위해 인재·자금 유입 구조에 있어 글로벌 기업과의 연계 강화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산·학·연·병·관 연계 방안
신약개발의 역할 분업화를 통한 신약개발 효율성 제고와 글로벌 진출 역량 강화 지원이 필요하다고 조합은 전했다. 이를 위해 한국형 오픈이노베이션 역량 강화를 위해 기술 제공자와 도입자 간 기술이전 계약이 체결된 신약후보물질을 대상으로 임상시험 등을 지원해야 한다는 것이 조합의 설명이다. 특히, 신약조합은 △개방형 혁신을 통한 신약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해 정부차원의 기술교류 지원 △한국형 3자 분업모델 기반 연구개발 프로그램 지원 등을 강조했다.

◇첨단바이오의약품 기술개발 전략
첨단바이오의약품 기술개발을 위해서 고가의 재생의료치료의 비용 절감을 통한 질환 확대, 소량생산의 제품 표준화와 동종세포 활용 기술개발 지원 강화가 필요하다고도 했다. 이를 위해 신약조합은 △기금과의 상업협정 또는 위험분담계약을 통하여 보건의료비용 완화 △환자의 자가세포가 아닌 동종세포를 이용한 ‘Off-The-Shelf(기성품)’ 치료제 개발 지원 등을 건의했다.

◇AI·빅데이터 기반 신약개발 생산성 제고
또 정부차원에서 AI·빅데이터 활성화를 위한 환경 조성을 위해 유효성평가, 독성평가센터, 질환별 학습모델을 구축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세부적으로는 △인공지능과 분자모델링 신약개발 전문인력 양성 △건강보험 등과 같은 공공데이터와 병원 임상 빅데이터 등을 포괄하는 보건의료 빅데이터 생성 플랫폼 공유 등을 건의했다.

◇창업·기술사업화 활성화
벤처캐피탈 투자, 창업 및 벤처 상장이 증가하고 있어 창업 지원 및 이를 기반한 기술사업화 플랫폼 인프라를 지원해야 한다고 했다. 유망기술의 사업공개 등을 통해 기술사업화 촉진과 가치사슬 연계를 통한 협업구조와 투자 활성화 실현 지원, 제약바이오산업분야의 아웃소싱 촉진을 위한 국내외 유망기술 발굴 및 기술이전 활성화 등을 건의했다.

◇신산업 대응 분야 및 재교육을 통한 인력양성
제약바이오산업의 미래 인력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미래 인력양성과 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재직자 재교육도 운영돼야 한다고 했다. 이를 위해 현장 중심 미래 인력양성이 필요하다의 의견이다. 기존 교육방식이 아닌 글로벌 기업을 유치·연계함으로써 전문인력의 국내 활용 등 선순환 구조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 또 제약바이오산업이 급격히 변화하는 만큼 직무 재교육 등을 통해 변화하는 시대에서 요구하는 인재 양성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규제 선진화
아울러, 글로벌 수준의 제약 선진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 국내 규제를 국제 기준에 따라 인허가 규제 선진화가 선행돼야 한다는 점을 언급했다. 이에 △인허가의 규제 선진화와 평가과학 기반 구축 △의약품 전주기 관리체계의 효율성 강화 △의약품법, 의약외품법, 의료기기법, 화장품법, 위생용품법 등 의료제품 특성에 맞는 개별 법과 함께 이를 통합관리 하기 위한 기본법 제정등을 제안했다.

◇약가 및 조세 지원
또 기업의 연구활동에 자발적인 연구비 투자를 유도하기 위해 연구개발비 투자의 조세지원과 성과에 대한 약가 우대 등 지원이 필요하다고도 했다. 구체적으로는 기업과 정부의 의료비 부담 공동협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진출 활성화를 위한 약가 및 조세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여기에 보험 등재 다양화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등 평가모델 수립·우대 필요성도 제시했다.

◇원료의약품 국산화 지원
또 조합은 원료약 국산화 지원을 위해 국내 생산 원료의약품의 약가를 우대하고 녹색성장과 연계한 시설 및 인프라 확충, 바이오벤처와의 협업 강화가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에 친환경 공장 설비 시스템을 갖출 수 있도록 세제와 투융자의 지원책이, 국가 연구개발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했다.

◇백신 및 치료제 개발
코로나19라는 국가 안보와 직결되는 경험을 바탕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감염병 대응 필요성도 언급했다. 신약조합은 △국가 안보와 연계한 백신, 치료제 및 혁신 기술에 대한 국방 예산과 확보 등 국가 대응 체계 필요 △백신법 제정을 통한 사회 안전망 구축 및 연구개발의 중장기 위기관리 대응을 건의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