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전체시장 161억달러…세계 16위 일본 다케다 매출 174억에도 못미쳐
R&D 투자액 10위권제약 5조 8485억 비해 국내 제약 총 투자액 1조6238억원

제약바이오협 ‘2020 의약품 통계집’ 발간, 고용측면에선 선진국 못지 않아

[의학신문·일간보사=김영주 기자]글로벌 의약품 시장에서 본 국내 제약산업은 여전히 갈 길이 멀다. 규모도 적거니와 R&D투자도 미흡하다. 개별 기업이 혼자 힘으로 글로벌 혁신신약 개발을 기대하긴 쉽지 않다는 반증이다. 정부의 적극 지원과 더불어 국내 R&D 리딩 그룹 간 협력 모델 구축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상위 14개 국가 시장규모 및 성장률

(단위: 십억달러, %)

최근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2020 제약바이오산업 DATABOOK 통계정보’를 발간했다. 국내, 외 의약품 시장 현황, R&D 및 고용 등 전반 통계를 집계했다.

통계로 살펴본 세계 의약품 시장에서의 국내 의약품 시장은 여전히 왜소했다. 2019년 세계 의약품 시장은 1조2504억 달라(1379조8164억 원)로 집계됐다. 최근 6년간 평균 성장률은 6.55%나 2018년 2.54%, 2019년 3.78%로 최근 주춤하다.

우리나라의 2019년 의약품 시장은 161억달러(17조 7663억)로 미국 대비 3.1%, 세계 12위이다. 지난 6년간 7.3%평균성장으로 성장세가 높긴 하나 전체 시장규모에서 보면 여전히 변방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2019년 세계 1위 화이자가 453억달러(49조 9885억)에는 한참 모자라고, 16위 일본 다케다 174억달러(19조 2009억 원)에도 못 미치는 정도이다. 이번 통계에 따르면 글로벌 50위권 제약에 미국 16개 제약사, 일본 7곳 제약, 중국 1곳 등이 포함돼 있으며, 순위에 들기 위해선 연간매출 25억 달러(2조 7587억) 정도는 돼야하는 데 우리의 경우 2조 매출을 올리는 제약사도 없는 실정이다.

한편 신약개발 R&D와 관련, 2019년 글로벌 R&D 총 규모는 1860억 달러(205조 2510억 원)로 2018년 대비 3% 늘었다. 스위스 로슈는 103억 달러(11조 3660억)로 세계에서 가장 R&D투자가 많은 곳이고, 존슨 앤 존슨이 88억달러(9조 7108억 원)로 2위 이다.

10위권이 53억달러(5조 8485억)인데 우리나라 전체 제약기업들의 총 R&D 투자액은 1조6238억원에 불과하다. 일본 기업들의 R&D투자액은 1조4047억엔(14조 9579억)으로 우리의 9.2배에 이른다. 2019년 국내 R&D투자 1위는 셀트리온으로 2019년 3052억(매출대비비중 31.1%)을 투자했고, SK바이오팜 1845억(149%), 한미약품 1782억(20.6%), 유한 1354억(9.3%) 등의 순이었다.

국내 개발 신약은 2015년 5품목에서 이후 2016년 1개, 2017년 1개, 2018년 1개, 2019년 0개로 저조하고, 개량신약 위주의 연구개발에 치중하는 경향이 있으며, 연간 1조 매출의 글로벌 혁신신약 개발에는 아직 성공에 이르지는 못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서도 고용측면에서는 의약품 선진국에 뒤지지 않는다. 우리나라는 2018년 9만7336명 이었고, 일본 10만4374명, 영국 6만 2500명, 캐나다 2만 9802명 등이었다. 우리나라는 적은 시장 규모에 비해 고용자수는 많은 것이다.

국내 주요산업별 고용현황을 살핀 결과 의약품분야의 경우 2019년 10만2912명으로 2018년에 비해 5.7%성장한 반면, 전 산업 평균성장률은 2.6%에 불과했다. 제조업 -1.7%, 자동차 –3.8%, 반도체 0.8%, 전자 -5.8%, 철강 –4.7%성장에 머물렀다.

최근 국내 제약기업들의 글로벌 혁신신약 개발에 대한 기대가 높다. 그러나 임상 최종단계에서 번번히 고배를 마셔왔다. 그리고 이번 통계는 투자에 비해 기대가 너무 컸던 것 아니냐는 자성을 일깨워주고 있다. 글로벌 시장에서의 우리의 위치가 어디에 있고, 우리의 R&D투자가 어느 수준인 지를 보여주고 있다는 풀이이다. 우리나라 미래먹거리 산업으로 꼽히는 제약산업의 글로벌화를 위해선 정부의 적극 뒷받침은 물론 국내 제약기업간, 특히 리딩 기업간 협력을 통한 시너지를 높이는 방안에 대한 모색에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