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조사 결과 항목별로 모두 공개 ‘역학조사’ 필요
대한보건협회, '먹는 물' 안전과 위생 확보 대책 요구

[의학신문·일간보사=이재원 기자]대한보건협회(회장 박병주, 서울의대 교수)는 최근 붉은 수돗물에 이어 수돗물에서 살아있는 유충이 검출된 사례와 관련, “국민건강권보장의 가장 기본적 요소인 ‘먹는 물’의 안전과 위생 확보를 위해 정부가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를 공개하고, 보다 근본적이고 철저하게 확산방지 및 재발방지 대책을 마련할 것”을 관계 당국에 촉구했다.

보건협회는 ‘수돗물 유충 검출 사태’에 대한 성명서를 발표하고 급수된 수돗물에 유충이 발생하게 된 근본적인 원인을 신속히 조사하고 전문조사 결과에 따라 관리와 운영 부실에 대한 책임여부와 함께 재발 방지를 위한 강도 높은 조치를 취하라고 요구했다.

특히 보건협회는 수돗물 유충 검출과 관련하여 환경부가 전국의 정수장 484개 가운데 고도정수처리장 49개소를 조사하여 유충이 발견된 입상활성탄(GAC, Granular Activated Carbon)사용을 우선 중단한다고 발표 하였으나, 실제 문제로 지적 된 입상 활성탄을 사용하는 정수장 42개소 중 유충이 발견된 곳은 7곳 (17%)에 지나지 않았으며, 나머지 35개(83%) 정수장은 GAC를 사용해도 유충발생의 문제가 없으므로 단순히 GAC 자체를 유충 발생의 근본원인으로 보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정수장 현장점검 결과를 조사항목별로 모두 공개하고, 이를 바탕으로 근본적인 원인을 찾기 위한 역학조사 등 다양한 분석과 전문가 자문을 얻을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해야 된다고 요구했다. 이와 관련 보건협회는 환경부가 49개 정수장에 대해 합동현장점검을 실시해 건물청결 상태, 역세척 주기, 역세척 방식・속도, 여재 위생관리 상태, GAC 시설물 내 유입방지시설 적정 설치·운영 여부 등(시설물 내 환기구, 점검구, 창문 등 방충설비 설치 현황)을 조사하였으나 보도자료에는 가장 중요한 활성탄여과지의 역세척 주기, 역세척 방식・속도, 여재 위생관리상태 등에 대한 내용은 공개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보건협회는 환경부가 정수장 시태조사를 벌인 뒤 GAC 접촉조 내 벌레 유입, 방충망 설치 여부, 밀폐 여부 등의 조사 결과를 공개한 후 운영상의 문제가 아닌 시설개선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으나 실제로 방충망 및 청결상태 불량인 14개 정수장 중 2곳에서만 유충이 발견되었고, 청결 상태로 판정된 35개 정수장 중에서도 5곳에서 유충이 발견되어 시설이나 청결상태가 주요한 원인이 아님을 알 수 있다며 보다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하고 실효성 있는 대책을 수립해야 된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인천시를 비롯해 유충이 발견된 모든 정수장들의 여과지(역세척 주기 및 속도, 소독 등) 위생관리 실태의 공개를 요구했으며, 기온, 기후 등의 영향을 고려한 여과지 세척, 오존 등의 소독시간 개선 등의 기본적인 관리조치들을 수행할 수 있는 전문인력을 배치하고 교육‧훈련을 강화하여 상시 모니터링체계를 구축해야 된다고 그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밖에도 보건협회는 수돗물 유충발생사태 확산방지를 위해 임시로 고도정수처리를 표준정수처리로 전환함에 따라 또 다른 보이지 않는 위험물질이 수돗물에 발생하지 않도록 수돗물 수질검사 성적을 매일 공개하라고 요구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