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을지대병원 박진성 교수팀 발표, 신경 보호 작용 저하 및 동맥경화 촉진 주의

[의학신문·일간보사=오인규 기자] 전립선암 치료를 위한 남성호르몬 억제요법이 치매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대전을지대병원 비뇨의학과 박진성 교수<사진>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2007년부터 2013년까지 전립선암으로 진단된 5만 1252명의 환자들과 연령기준을 맞춰 암 병력이 없는 20만 9659명의 대조군을 추출, 전체 치매 위험도와 알츠하이머 치매 및 혈관성 치매의 위험도를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전립선암 환자군은 대조군에 비해 전체 치매 위험도는 차이가 없었고, 혈관성 치매 위험도는 오히려 11%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적극적 추적관찰, 수술, 수술+호르몬치료, 방사선치료, 방사선+호르몬치료, 호르몬치료 등 일차 치료 방법에 따른 치매 위험도를 분석했을 때, 수술만 받은 환자들은 치매, 알츠하이머 치매 및 혈관성 치매의 위험도가 대조군에 비해 모두 낮았다.

반면 호르몬치료를 받은 환자들은 치매 및 알츠하이머 치매의 위험도가 높았고, 수술+호르몬치료, 방사선치료, 방사선+호르몬치료 등을 받은 경우 대조군과 치매 위험도에 차이가 없었다.

연구팀은 전립선암 환자에서 흔히 시행되는 호르몬 억제요법이 남성호르몬의 신경 보호 작용을 저하시키고, 동맥경화 촉진을 통해 치매 발생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따라서 호르몬 억제요법을 받은 고령의 전립선암 환자의 경우 치매에 대한 주기적인 점검, 인지기능 훈련, 적극적인 혈압·혈당·고지혈증 등의 관리를 통한 치매 예방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박진성 교수는 “호르몬요법은 암 치료에 필수적이지만, 치매뿐만 아니라 심장질환, 골절 등의 장기적인 부작용들을 일으킬 수 있다”며 “전립선암 환자들의 치료 방법에 따라 치매 위험도가 달랐던 만큼, 이를 고려해 장기 부작용에 대한 임상 가이드라인 확립 및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근거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해당 연구는 ‘전립선암 생존자들의 치매 위험도 분석: 전국 코호트 연구’라는 논문으로 발표돼 SCI 저널인 ‘Current Problems in Cancer’ 최신호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