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신곤 교수 “밀수입 등 교류 통해 북한 내 전염 우려”

[의학신문·일간보사=진주영 기자] 북한이 코로나19가 유입되지 않았다고 주장하는 가운데, 의료계는 시장경제를 유지하는 북한의 유일한 루트가 중국인 점에 착안해 비공식적 점염 가능성이 있을 것이라 추정하고 있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내분비내과 김신곤 교수는 “북한이 어느 나라보다도 국경을 엄격하게 폐쇄할 수 있는 국가인 것은 맞다“라며 ”하지만 북한이 그나마 시장경제를 유지할 수 있는 유일한 루트가 중국인 점에서 심대한 타격이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공식적인 봉쇄에도 불구하고 소위 말하는 밀무역 등을 통해서 교류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상황이다.

김신곤 교수는 “북한의 신의주가 인접해 있는 단동에서도 환자가 거의 100여명 정도가 발생을 했기 때문에 비공식적 루트를 통해서 충분히 전염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또한 국제적 통계에 따르면 북한은 영양상태가 좋지 않은 사람 비율이 40%에 달해, 코로나19가 유행한다면 북한 체제의 휴유증을 남길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다.

김신곤 교수는 “북한의 영양부족 상태와 더불어 특히 지금 UN제재로 매년 경제성장률 마이너스 성장 하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만약에 신종 바이러스가 북한에서 문제를 일으키기 시작한다면 북한에서 얘기하는 엄청난 후과가 발생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에 김 교수는 “북한 지역이 위험지역이 될 수 있어 국제사회의 지속적인 관심과 또 주시·배려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반면 북한은 첨단장비나 진단키트 등 상당한 제약이 있지만 방역 차원에서는 우리나라보다 앞선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김신곤 교수는 “북한은 노동당이 전체 사회를 지도하는 국가이기 때문에 노동당이 결정하면 북한의 인민들이 그것을 따르는 문화·시스템들은 다 갖춰져 있다”며 “우리나라보다 일사분란하게 방역이나 예방을 위한 노력들은 이뤄질 개연성은 있다”고 말했다.

이와 더불어 김 교수는 “함께 머리를 맞대고 서로의 위험이 될 수 있는 위험들을 공동으로 대항할 수 있고 재난 상황 등을 함께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과 루트들을 만들어야 된다”며 “이는 결국은 남북한의 생명을 살리는 것”이라고 피력했다.

그는 “정치적으로 아무리 어려운 상황이라 할지라도 생명을 살리기 위한 끈을 놓지 않는 노력들이 필요하다”며 “기대 섞인 전망이긴 하지만 우리가 공동 위험관리라는 차원에서 함께 대화하고 또 서로 요청할 것 요청하면서 대처하고 위기를 극복 했으면 좋겠다”고 주문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