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전립선암·췌장암·신장암 증가 추세…암환자 5년 생존율 70% 넘어
복지부, 암데이터 사업 본격 추진·대장내시경 1차 검사 시범사업 ‘지속’

[의학신문·일간보사=안치영 기자] 2017년 한 해 신규 암환자는 23만2255명으로 국민 10만명당 신규 암환자가 약 283명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유방암, 전립선암, 췌장암, 신장암은 발생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보건복지부(박능후 장관, 이하 ‘복지부’)는 24일 오후 4시 암관리법에 의한 국가암관리위원회(위원장 김강립 보건복지부 차관, 이하 ‘위원회’)를 개최, ‘2017년 국가암등록통계’, ‘2020년 국가암관리사업 주요 추진과제’ 등을 논의했다.

위원회에 보고한 국가암등록통계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2017년 한 해 동안 새로 발생한 암환자는 23만2255명(남 12만2292명, 여 10만9963명)으로, 전년도(23만1236명)에 비해 1019명(0.4%) 증가했다.

구체적으로 폐암 941명(3.6%), 전립선암 853명(7.1%), 유방암 488명(2.2%), 췌장암 310명(4.6%)이 증가했으며, 위암 972명(3.2%), 간암 475명(3.0%), 대장암 247명(0.9%), 갑상선암 234명(0.9%)은 감소했다.

이와 함께 인구 10만 명 당 연령표준화발생률(이하 발생률)은 282.8명으로 전년 대비 6.6명(2.3%)감소했다. 연령표준화발생률은 2000년 주민등록연앙인구(2000년 7월 1일)를 표준인구로 연령표준화를 산출했으며, 시점간·지역간 비교에 활용된다.

암발생률은 1999년 이후 2011년까지 연평균 3.7%씩 증가하다가, 2011년 이후 매년 약 2.6%씩 감소했다.

유방암, 전립선암, 췌장암, 신장암은 1999년 이후 발생률이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반면 위암, 대장암, 갑상선암, 폐암(남자), 간암, 자궁경부암의 발생률은 최근 감소 추세를 보였다.

2017년 남녀 전체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 암은 위암이었으며, 이어서 대장암, 폐암, 갑상선암, 유방암, 간암, 전립선암 순이었다.

2016년과 비교했을 때 암종별 발생자 수는 남녀를 통틀어 폐암이 3위, 췌장암이 8위로 각각 한 순위씩 상승했고, 남자, 여자 각각에서 상위 여섯 개 암의 순위에는 변동이 없었다.

암생존율을 살펴보면 최근 5년간(2013-2017년) 진단받은 암환자의 5년 상대생존율은 70.4%로, 약 10년 전(2001-2005년)에 진단받은 암환자의 생존율(54.1%)보다 1.3배(16.3%p 증가) 높은 수준이다.

암종별 생존율로는 갑상선암(100.1%), 전립선암(94.1%), 유방암(93.2%)의 생존율이 높았으며, 간암(35.6%), 폐암(30.2%), 담낭 및 기타담도암(28.9%), 췌장암(12.2%)의 생존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암 확진 후 현재 치료 중이거나 완치된 암유병자 수는 약 187만 명이며, 우리나라 국민 전체의 3.6%를 차지했다.

암종별로는 남녀 전체에서 갑상선암(40만5032명) 유병자 수가 전체의 21.7%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위암(28만9223명), 대장암(25만1063명), 유방암(21만7203명), 전립선암(8만6435명), 폐암(8만4242명) 순이었다.

대장내시경 1차 검사 시범사업 지속…내년도 국가암관리사업 주요 추진과제 확정

이날 국가암관리위원회에는 ‘2020년도 국가암관리사업 주요 추진과제’로 제4차 암관리종합계획 수립, 암관리법 개정 및 암데이터 사업 추진, 대장내시경 시범사업 지속 추진 등을 보고했다.

정부는 현재 제4차 종합계획(2021∼2025년)을 수립하기 위해 각계의 암 관련 전문가들이 모여 제3차 종합계획(2016∼2020년)의 성과평가를 기반으로 국내외 암관리 최신 동향을 반영, 중장기적으로 도입이 필요한 미래과제 발굴 등을 진행하고 있다.

제4차 종합계획은 내년 중 학계·전문가·시민사회 공청회 등 의견수렴 이후 하반기에 국가암관리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 발표할 예정이다.

또한 정부는 암관리법 개정안(2019. 12. 2.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의결)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 정부·지방자치단체․공공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암 관련 데이터를 활용한 암데이터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정부는 공익적 목적의 정책수립 및 연구개발을 위해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립암센터, 질병관리본부 등 다양한 기관에 분산되어 있는 암 관련 데이터를 특정 개인을 알아 볼 수 없도록 가명처리 후 수집·연계·활용할 계획이다.

이로 인해 중장기적으로 암환자 개인 특성에 맞는 최적화된 치료전략 수립, 맞춤형 임상시험 설계를 통한 진단․치료법 개발 등 연구개발 성과 제고, 국가 암관리정책의 효과성 평가 및 정책 개선 등이 가능해질 것으로 정부는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내년에는 올해에 이어 만 50-74세 남녀 5000명을 대상으로 대장암 검진 시 대장내시경 검사를 1차 검사로 도입하는 방안에 대한 시범사업을 계속할 예정이다.

복지부는 현행 대장암 검진방법(분변잠혈검사)의 불편함, 개인검진의 하나로 대장내시경 검사 증가 등 국민의 선호를 반영할 필요성에 따라 올해부터 효과를 검증하는 시범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김강립 보건복지부 차관은 이날 국가암관리위원회에서 “암 조기검진, 치료기술 발달 등으로 전체적인 암 생존율이 증가하여 암 생존자의 관리 및 사회복귀 지원이 날로 중요해지고 있다”고 밝혔다.

김 차관은 이어 “앞으로 제4차 암관리종합계획을 수립하여 우리나라의 암 관리정책이 한 단계 더 도약하는 계기로 삼는 한편, 암데이터 사업을 통해 난치성 암 등에 대한 진단 및 치료기술 개발 등 근거기반 정책과 연구개발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