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내과 전문의들 ‘비급여 항생제에 대한 전향적 급여화 필요’ 한 목소리

[의학신문·일간보사=이종태 기자] 다제내성균의 예방을 위해 항생제를 적게 쓰는 등 전염예방도 중요하지만 이미 감염돼 있는 환자들에게 최적의 치료를 제공해 감염에 대해 선제적 대응방안을 고민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환자들에게 항생제 신약에 대한 접근성을 확보하기위해 유효성이 입증된 신약에 대해서는 전향적으로 급여해줄 것을 촉구하고 나선 것.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이명수 의원은 대한항균요법학회와 함께 5일 오전, 최근 늘어나고 있는 항생제 다제내성균에 대한 대응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토론회를 진행했다.

이날 토론회에서 한림대병원 감염내과 이재갑 교수(사진)는 “균이 강력해서 환자들을 살리지 못하는 것이 아니라 균에 대한 치료제가 부족해서 환자들을 잃고 있다”면서 “환자들은 대부분 건강하지 못해 면역력이 취약한 상태인 만큼 치료옵션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에 따르면 현재 다제내성균은 요양병원과 대학병원간 전원과정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항생제 사용이 제한적인 요양병원에서 내성균을 보유한 환자들이 대학병원으로 이송된 후 다인실에서 다른 환자들에게 옮기는 사례가 가장 잦다.

의료진들은 현재 집계되지 않은 잠재적인 보균자들이 상당수일 것으로 추측하고 각 병원에 이미 내성균이 정착한 상황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이 교수는 “예방이나 감염관리도 필요하지만 요양병원내 감염병관리료 등을 지급하지 않는 한 균의 원내유입을 차단하기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만큼 의료진들이 사용가능한 항생제 옵션을 늘려 환자를 살려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고대병원 감염내과 최원석 교수도 국내에서 다제내성균 환자에 대한 치료방법이 제한적이라는 점에 동의하고 항생제에 대한 급여문턱을 낮춰줄 것을 요구했다.

최원석 교수는 “현재 국내에서는 96개 성분, 56종의 항생제가 사용 가능하지만 다제내성균 감염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고작 10개 내외"라면서 "내성균의 특성상 같은 종류의 항생제는 균만 키우게되는데 새롭게 개발된 항생제 신약들은 경제성평가를 통과하지 못하면서 비급여의 영역에 있어 의료적 판단보다는 비용을 먼저 생각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감염내과에서는 항생제를 사용할때 효과는 유지하면서 원치 않는 내성을 유도하는 것을 줄이는 항생제 스튜어드쉽을 적용하고 있는데 이는 다양한 치료옵션이 확보돼야 더욱 효과적”이라면서 “하지만 지금 옵션이 부족해 출시된지 60여년이 지난 부작용이 심한 항생제를 쓰기도 한다”고 토로했다.

이에 최원석 교수는 다제내성균 감염을 치료하기 위해 전향적인 급여화를 검토해줄 것과 만약 불가능할 경우, 국가필수의약품으로라도 지정해 줄것을 촉구했다.

한양대 감염내과 배현주 교수는 보다 강한 어조로 보건당국을 비판하고 나섰다. 배현주 교수는 “정말 중요한 의약품들은 의료진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전문가들의 검토아래 급여여부가 결정돼야한다”면서 “보장성이 강화되고 있지만 그 방향성은 틀렸다고 생각한다”고 날을 세웠다.

이어 “비싸도 필요하면 지출을 감수하고 쓸 수 있어야하는데 불필요한 검사나 치료쪽으로만 급여화가 진행되고 있어 문제”라면서 “일반적인 사안에 대한 보장성 강화보다는 감염시 치명적인 다제내성균에 대한 치료에 쓰여야한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이에 대해 복지부 보험약제과 최경호 사무관은 “항생제 도입에 있어서 외국약가제도에 대해서도 참조해보고 고민해보겠다”면서 “항생제와 관련해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해서 반영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