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다발골수종 치료 위한 신약 급여 확대·접근성 향상 강조
복지부, 전문가 혈액암 신약 급여 확대 요구에도 '원론적 답변' 반복

오른쪽부터 최경호 복지부 보험약제과 사무관, 고영일 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 엄현석 국립암센터 혈액종양내과 교수

[의학신문·일간보사=이재원 기자] 다발골수종 치료 시 생존율과 재발 방지율을 높이기 위한 신약 접근성과 급여 보장성 확대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전문가들로부터 제기됐다. 특히 급여가 되지 않는 유지요법의 급여 확대를 전문가들은 강조했다.

그러나 이 같은 의견에도 복지부는 절차적 논의가 필요하다는 원론적인 답변만을 제시해 시각차를 드러냈다.

김광수 의원이 주최한 ‘재발률 높은 혈액암 치료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토론회’가 19일 국회의원회관 제6간담회의실에서 개최되었다.

이날 발제에 나선 서울대학교 병원 혈액종양내과 고영일 교수는 다발골수종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는 신약의 급여 확대가 필요한 이유를 사례를 들어 제시했다.

고 교수에 따르면, 다발골수종을 앓는 55세의 남성 환자의 경우 두 번의 자가조혈모세포이식에도 불구하고 모두 재발해 끝내 호스피스 치료를 앞두고 있었다. 그러나 BRAF V600E 돌연변이 발견으로 서울대병원에서 진행하는 초기 임상시험에 등록한 결과 1년간 환자의 생존이 연장되었으며, 올해 보험급여된 키프롤리스와 다잘렉스를 이용해 치료를 받은 환자가 현재까지도 생존해 있다고 말했다.

고 교수는 “혈액암 치료, 특히 다발골수종 치료는 비침습적이고 부담이 없는 최소한의 치료를 통해 목표를 달성하려고 노력한다”면서 “효과적인 신약의 급여 여부가 많은 환자들의 생존권을 좌우한다. 또한 신약의 접근권이라는 측면에서 조기 임상시험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날 토론에 참석한 엄현석 국립암센터 혈액종양내과 교수는 신약의 보험급여 확대에 공감하면서도 특히 다발골수종 치료 시 초기치료와 유지요법의 중요성을 덧붙여 강조했다.

엄 교수는 “대부분의 환자에서 재발률이 높다”면서 “다발 골수종 환자의 생존율을 1차 치료요법과 관련성이 높다. 초기치료에서 좋은 상태로 오래 유지하면 재발되더라도 생존기간이 길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렇듯 재발률이 높은 다발골수종은 초기치료만큼이나 유지요법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유지요법의 목적은 질병의 진행을 방지하고 생존기간을 연장시키는 것에 있다. 특히 레날리도마이드 유지요법은 25%의 사망 위험이 감소했으며, 무진행 생존기간도 2.4년이 연장된 것으로 메타분석 결과 나타났다.

그러나 유지요법의 경우 현재 국내에서는 보험급여가 안되는 것이 현실이라고 엄 교수는 밝혔다. 실제 레블리미드 유지요법의 경우 약재 값이 한달에 200만원에 달하는 것이 현실이다.

엄 교수는 “미국 등 선진국과의 다발골수종 생존율 차이를 줄이려면 신약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 환자가 좋은 약재를 쓸 수 있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면서 “미국의 가이드라인을 보면 많은 종류의 약제 선택지가 있으나 국내는 이러한 보험급여가 제한적이다. 확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의 이 같은 신약 보험 급여화 확대 의견에 복지부는 전문가들의 논의 절차가 필요하다는 원론적인 입장을 밝혔다.

복지부 보험약제과 최경호 사무관은 “교수님들이 말씀하신 유지요법과 신약의 효과성을 부정할 수는 없으나 효과만 좋다고 해서 보험이라는 제도권으로 들어올 수 있는 것은 아니다”라면서 “암질환심의위원회나 관련 절차를 통해 전문가들의 충분한 논의를 통해서만이 제도화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