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500억달러 넘어 전년 동기 대비 47% 증가

[의학신문·일간보사=김자연 기자] 지난 상반기 동안 제약 및 생명공학 업계에서 BMS의 세엘진 인수 등이 10대 M&A 거래로 집계됐다.

유전조작 및 생명공학 뉴스의 집계에 따르면 올 상반기에 발표 또는 완료된 10대 M&A 규모는 총 2500억달러가 넘어 전년 동기의 동일 집계에 비해 47% 급증했다.

이처럼 연초부터 메가급 M&A 발표되는 등 올해 인수합병이 활발한 데는 신약 개발 및 승인 비용 상승에 따라 기존의 내부적 R&D에 대한 투자수익률(ROI)이 저하됐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됐다.

이에 따라 특허만료가 임박한 제약사들은 포트폴리오를 채우고 확대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M&A로 뛰어들 수밖에 없다는 것.

BMS는 세엘진을 740억달러에 인수하며 면역학, 염증학, 심혈관 질환, 종양학에 강자로 떠오르게 됐지만 최근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의 우려에 따라 건선 치료제 오테즐라를 정리할 계획이다.

이어 휴미라의 미국 특허 만료를 앞둔 애브비가 앨러간을 630억달러에 인수하며 올해 매출 기반 480억달러 규모의 제약사로 부상하게 됐다.

그리고 다케다가 규모 확장 및 세계 진출 확대를 위해 586억달러에 샤이어 인수를 올 초에 완료하고 이어 503억달러에 이르는 부채를 줄이기 위해 오사카의 본사 건물 및 비중심 자산의 매각을 발표했다. 아울러 다케다는 연간 비용 절감 전망을 2021년말까지 14억달러에서 20억달러로 상향 조절했다.

다음으로 다나허가 GE 라이프 사이언시스의 바이오파마 사업을 214억달러에 인수하며 바이오프로세싱 제공을 강화시킨 한편 GE는 부채를 갚을 수 있었다.

그 뒤로 화이자가 종양학 진출 확대를 위해 어레이 바이오파마를 114억달러에 인수했다. 이를 통해 화이자는 어레이의 BRAFV600E 및 BRAFV600K 변이 절제 불가, 전이성 흑색종 치료제 브라프토비(Braftovi, encorafenib)와 멕토비(Mektovi, binimetinib)를 취득했으며 이는 최근 대장암 임상시험에서 유망한 효과를 내는 등 30건 이상의 임상시험이 진행 중이다.

아울러 일라이 릴리도 정밀 항암제 개발을 따라잡기 위해 록소 온콜로지를 80억달러에 인수했으며 GSK 또한 종양학 파이프라인 개발을 위해 테사로를 51억달러에 인수하며 제줄라를 취득해 적응증 확대를 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GSK는 인수로 PD-1, TIM-3, LAG-3에 대한 항체도 손에 넣었다.

또한 로슈는 48억달러에 사들이기로 결정한 스파크 쎄러퓨틱스에 대해 최근 재차 주식 공개 매수를 연장하기도 했다. 인수를 위해 로슈는 스파크 주식의 50% 이상을 획득해야 하지만 지난 달 초까지 로슈의 제안에 응한 주주는 발행주의 21% 정도에 그친 것으로 확인됐다.

뒤따라 MSD 역시 암 파이프라인 확대를 위해 펠로톤 쎄러퓨틱스를 22억달러에 인수했으며 이는 선금으로 현금 10억5000만달러와 향후 승인 및 매출 마일스톤 11억5000만달러로 이뤄졌다.

마지막으로 써모 피셔 사이언티픽이 제약 서비스의 일환으로 증가하는 임상 및 상업적 유전자 치료제의 수요에 맞춰 바이러스 벡터 CDMO 시장에 진출 확대를 위해 브래머 바이오를 17억달러에 인수하며 순위권 안에 들었다.

이밖에도 염증 신약후보를 위한 노바티스의-IFM 트레 인수, 희귀질환 치료제를 위한 입센의 클레멘티아 파마슈티컬스 인수 등 10억달러 규모가 넘는 5개 거래가 더 있었지만 순위권 안에는 들지도 못했다.

한편, 전체 회사가 아닌 특정 치료제에 관한 권리 인수로 아스트라제네카가 다이이찌 산쿄로부터 DS-8201(trastuzumab deruxtecan)에 관한 세계 개발 판매 협력으로 최대 69억달러를 지불하기로 합의했으며, 노바티스는 다케다로부터 안구 건조 치료제 자이드라를 취득하며 53억달러까지 주기로 약속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