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분석 30계정·OPEN R&D 센터 12좌석 추가 확충
빅데이터 기관간 CDM 기반 분석결과 공유 활용 시스템도 구축

[의학신문·일간보사=한윤창 기자]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빅데이터에 대한 접근성이 보다 강화되고 제공 데이터에 대한 유형이 확대될 전망이다. 연구자 등 이용자의 다양한 활용을 위한 유·무형의 인프라가 대폭 확충된다.

심평원은 18일 오전 서초동 서울사무소에서 열린 기자회견을 통해 데이터 분석 계정을 증설하고 OPEN R&D 센터를 확대하는 등 빅데이터의 접근성과 이용 편리성을 제고하겠다고 밝혔다. 더불어 빅데이터 분석 관련 시스템과 교육 프로그램을 확충하겠다는 방안을 내놨다.

우선 이용자의 지속적 증가에 따라 데이터 분석계정을 현 210개 계정에서 올해 말 240개 계정으로 증설한다. 이에 따라 이용자 수가 확대되고 대기시간을 줄어들 전망이다. 제약 등 산업계, 창원 지원을 위한 OPEN R&D 센터는 현 11좌석에서 올해 말 23좌석으로 두 배가량 늘어난다. 또한 내년에 이용자 알 권리를 위한 개방데이터 맵이 구축될 예정이다.

심평원은 빅데이터 분석 관련 교육 프로그램도 확충할 계획이다. 올해 7~8월 제약·의료기기 업계 대상 데이터 분석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데이터 기반 R&D 과제 발굴 등 민관 협업체계를 구축한다.

김현표 심평원 빅데이터실장은 “이용자 수준별·지원거점 지역단위별 빅데이터 분석 교육, 산학관 연계 교육, 연구자 대상 심화교육 등을 확대해 보건의료빅데이터에 대한 전문분석 역량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데이터 유형에서도 기존에 제공하던 정형·관계형 데이터에서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심평원은 네년에 내부 보유 의료영상데이터에 대한 개방 표준화 작업을 통해 인공지능 알고리즘 개발 등에 활용 가능한 의료영상 개방 DB를 구축한다.

또한 개인정보의 이동 없이 빅데이터 보유 기관 간 연구를 할 수 있도록 같은 해 CDM 기반의 분석결과 공유 활용 시스템을 마련한다. CDM은 분산연구네트워크의 한 형태로 다양한 기관에 산재한 비식별화된 EMR 등 데이터를 표준화된 방법으로 DB화해 동일한 툴로 분석한 후 그 결과를 제출·비교하는 방식을 말한다.

현재 정부는 심평원을 포함한 4개 공공기관의 데이터를 연계한 자료를 공익 연구에 활용할 수 있도록 추진하는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시범사업을 진행 중이다. 기관별 자료의 연계방식 및 공익의 판단 기준과 같은 세부 내용을 구체화하는 것이다.

아울러 해당 사업의 인프라 구축을 위해 심평원 원주 본원에 필요한 별도의 하드웨어(서버 1식, VPN 1식)와 소프트웨어(보안 S/W, 관제 솔루션, 연계 솔루션, 모니터링 솔루션)를 설치·점검 중이다.

보건의료 데이터 재식별에 따른 개인정보 침해 위험성에 대해, 심평원은 개인정보 보호와 유용성을 균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정보 관리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를 자체 실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현표 심평원 빅데이터실장은 “향후 국회의 개인정보호법 개정 및 하위 법령 개정 이후 시민단체 등과의 사회적 논의를 통해 보건의료 분야에 적합한 세부 가이드라인 마련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