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동경희대병원, 생물학적 제제 등 약물 치료 중요성 강조

[의학신문·일간보사=정윤식 기자] 국내 의료진이 크론병이 10대에서 발병한 경우 증상이 더 심하고 성장에 악영향을 끼치지만 생물학적 제제 등 약물 치료 효과가 늘고 있다는 점도 강조하고 나섰다.

강동경희대병원은 크론병 10~20대 젊은 환자 증가 폭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가운데 이에 대한 치료의 중요성을 최근 설명했다.

크론병은 만성 염증성 장질환의 하나로 소화관 모든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설사와 복통이 흔한 증상으로 나타나며 혈변 증세를 보인다.

차재명 강동경희대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실제로 강동경희대병원 소화기내과 차재명 교수와 곽민섭 교수의 논문에 따르면 크론병은 10대 발병률이 2009년 10만 명 당 0.76명에서 2016년 1.3명으로, 20대는 0.64명에서 0.88명으로 증가한 반면, 다른 연령대는 소폭 증가하거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차재명 교수는 이 같은 현상에 대해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1인 가구가 늘어나면서 육식과 즉석식품의 섭취가 증가한 것이 발병률을 높인 것으로 분석했으며, 질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조기 진단을 한 것도 이유 중 하나로 꼽았다.

특히 젊은 나이에 생긴 크론병을 더욱 조심해야 한다는 것이 차재명 교수의 강조사항이다.

차재명 교수는 “40세 이후에 크론병이 발병하면 증상도 비교적 경미하고 경과도 좋은 편이지만 10대에 발병한 경우 증상이 심할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했다.

복통‧설사에 자주 시달리고 장에 염증이 생기면 영양분의 흡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체중감소‧성장부진 등이 생길 수 있다는 것.

크론병은 증상, 경과, 내시경 검사, 조직검사 등을 종합해 진단하기 때문에 한 번에 확진이 되지 않고 병이 진행되면서 확진되기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차재명 교수는 “문진과 진찰만으로 100% 확진할 수는 없기 때문에 혈액 검사, 내시경 검사, 영상의학 검사 등 여러 검사를 통해 다른 질병의 가능성을 배제하면서 크론병을 진단한다”며 “특히 결핵성 장염과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어서 항결핵제에 대한 반응을 확인해 감별하기도 한다“고 전했다.

차재명 교수는 크론병의 경우 현재 완치가 되지는 않으나 위장관의 염증을 조절해 증상이 없고 점막이 치유되는 상태로 만드는 것을 치료 목표로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환자에 따라 질병의 범위, 증상, 치료에 대한 반응이 모두 달라 염증성 장질환에 대한 경험이 풍부한 전문의를 찾아 치료하는 것이 좋다는 의미인 것이다.

차재명 교수는 “비교적 증상이 심하지 않으면 염증에 효과가 있는 항염증제를 먼저 사용한다”며 “급성 악화기에는 스테로이드제를 사용하고 면역조절제는 스테로이드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고, 스테로이드를 중단했을 때 유지 약물로 사용한다”고 말했다.

차 교수는 이어 “최근에는 생물학적 제제를 많이 사용하게 되면서 치료 성적이 매우 향상됐지만 모든 환자에게 사용하는 것이 아니다”며 “아직 모든 환자가 건강 보험 적용을 받을 수는 없다는 단점이 있고 만약, 약물치료로 호전되지 않거나 천공, 출혈, 장폐색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할 경우에는 수술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크론병은 급성기가 아니면 정상 생활이 가능하나 몸 관리 유의하고 여행 시 비상약을 챙겨야 한다는 조언도 전한 차재명 교수이다.

단, 병이 악화된 급성기에는 지나치게 피로를 유발하거나 복통, 관절통 등의 증상을 악화시킬 정도로 격렬한 운동은 제한하는 것이 좋다는게 차 교수의 조언.

차 교수는 “최근에는 해외에 몇 년씩 체류하며 공부하는 학생들도 증가하고 있어서 약물 처방과 약물의 의료보험 급여 적용 유무 등에 대해 주치의와 충분히 상의할 필요가 있다”며 “만약 위생상태가 좋지 않은 지역을 여행한다면 세균성 장염이 크론병을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물은 될 수 있으면 사먹는 것이 좋다”고 언급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