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제약산업 글로벌화' 정책토론회서 다양한 의견 제기
1상 보다 3상임상 집중, 인프라 구축 통해 혁신성 지원 필요성 제기

[의학신문·일간보사=이종태 기자] 문재인 정부는 출범과 동시에 국가차원의 미래 먹거리 중의 하나로 제약바이오 분야를 선정하고 4차 산업시대의 신산업 동력으로 집중육성 시킨다는 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최근 발사르탄 문제가 불거지면서 국내 제약 산업이 제네릭 생산과 내수시장 위주의 취약한 산업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냉정한 분석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국내 제약산업이 스스로 체질을 개선하고 내실을 키워야 한다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자유한국당 성일종 의원은 지난 27일 국회의원회관에서 보건복지위원회 이명수, 기동민, 오제세 의원과 함께 ‘제약산업의 글로벌화 어떻게 가야하나’라는 주제로 토론회(사진)를 진행했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가 공동후원한 이번 토론회에서 보건산업진흥원 이민영 상임고문은 "한국의 제약·바이오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우선 제네릭 중심의 R&D와 사업을 탈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1상이나 2상임상으로는 혁신신약의 출시를 가늠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라며 “임상 1상·2상 중심의 정부 지원정책을 바꿔 3상 임상을 중심으로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요구했다.

즉 최근 기술수출로 큰 수익을 거둔 국내 제약사들이 많지만 장기적으로는 정부정책 기조의 변화를 통해 기업들로 하여금 글로벌 임상 3상을 수행하려는 노력을 이끌어내야 글로벌 시장에서 국내 제약업계가 주류가 될 수 있다는 논리다.

보건산업진흥원 제약바이오글로벌팀 정순규 팀장도 비슷한 의견을 냈다. 정순규 팀장은 “제약강국이라는 목적이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어 한 가지에만 매몰되면 안 된다고 생각 한다”며 “산업이 커지고 육성된다는 것은 몇 몇 기업이 글로벌기업으로 성장한다는 것과는 결이 다른 이야기다”라고 밝혔다.

이어 정 팀장은 “정부입장에서는 50위 기업 안에 국내 제약사가 몇 개 회사가 포함됐는지도 중요하겠지만 세계 500위 안에 몇 개 회사가 진입했는가도 중요한 일일 수 있다”며 일부회사에 대한 혜택보다는 산업자체의 경쟁력을 갖춰야한다"고 강조했다.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진흥과 김주영 과장도 “과거 내수중심 시장이었던 제약산업이 정부의 시그널과 함께 혁신신약에 뛰어들기 시작했다”며 “하지만 이제는 정부가 제약사의 혁신성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해 제약사가 스스로 민간투자들을 이끌어내는 방식으로 선회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김주영 과장은 “최근 5년간 기술투자와 민간투자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기업이 스스로 글로벌경쟁력을 갖추려고 한다면 인공지능 신약개발에 75억을 투자한 것처럼 정부는 국내 제약업계를 위한 인프라 구축에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