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진
명이비인후과원장 · 의사평론가

[의학신문·일간보사] 롤모델은 의학의 기예(the art of medicine)라 불리는 무형의 것을 전달하는 매우 강력한 수단으로, 의학 전문직업성(Medical professionalism)교육의 중요한 핵심을 차지하고 있다. 롤모델을 통한 학습은 관찰과 성찰을 통해 이루어진다. 동료의식을 고취시키고 전문직이 가지는 공동목표를 따르도록 이끌어 준다.

“좋은 스승은 지식을 잘 가르치고 전달하는 사람이 아니라, 그 지식을 사랑하도록 이끌어 주는 사람이다.”

“좋은 나무에서 좋은 열매가 나온다.” 바람직한 롤모델을 표현하는 격언들이다. 의학 전문직업성을 학부시절부터 누구를 통해 어떻게 배우고 체득하느냐에 따라 좋은 의사가 만들어지기도 하고 함량미달의 의사가 만들어지기도 한다.

Good Doctor는 전문직업성의 특성인 임상적 전문 지식, 자기 인식과 성찰 그리고 측은지심과 배려, 환자와 동료를 향한 태도, 인성 그리고 신념과 가치를 지닌 의사다. 이러한 각각의 특성은 모델이 되는 사람을 통해 배우고 따라가게 된다. 이에 반해 일반적인 전문직 표준(Professional Standards)에 미치지 못하는 롤모델은 상당히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최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전문직업성’이라는 주제는 의학 교육과정에서 정식으로 다루어지지 않았다. 학생에게 이러한 것에 대한 인식이 없어도, 존경하는 롤모델의 행동을 모방함으로써 전문직이 된다고 여겨졌다. 하지만 이제 상황을 달라졌다. 한 명의 롤모델보다는 교수 전체가 좋은 롤모델이 되어야 한다.

교수 전체가 좋은 롤모델 돼야

롤 모델링(Role Modeling)은 교수진이 보여주는 지식, 태도 그리고 그들의 술기를 보여주는 과정으로 정의된다. 전문직으로서의 사고 과정을 또렷하게 보여주는 것과 전문직다운 행위나 특징을 보여주는 것이다. 바람직한 롤모델은 지식과 술기, 환자와 직원과의 소통 그리고 올바른 임상추론과 의사결정을 포함하는 임상역량을 갖추어야 하고, 효과적인 교습법을 통해 의사소통, 피드백 그리고 학생 중심 학습을 증진시키는 성찰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또한 자기개발을 통해 측은지심, 정직성, 인격적 통합성, 효과적인 대인 관계, 진료와 교육에 대한 열정 그리고 탁월함을 위한 끊임없는 탐구를 이어가야 한다. 학생들이 지켜 본 행위를 자신의 의식과 무의식적인 영역에서 서로 융합할 수 있도록 이끌어주는 것은 효과적인 롤 모델링의 필수적인 부분이다.

롤 모델링은 정규 교육과정과 비정규교육과정 모두에서 이루어진다. 정규 교육과정의 경우 자신이 하는 일에 열정과 열의를 보이는 교수는 매우 큰 영향을 주고, 그렇지 않은 교수는 소중한 기회를 놓치게 된다. 비정규 교육과정의 경우 교수와 동료로부터 선배 의사들까지 모두 롤모델의 대상이 될 수 있다. 교수나 선배 전공의가 되는 순간 저절로 전문직다운 역량이 생기는 것이 아니기에 학생을 가르치는 이들에게 정확한 전문직의 개념과 자신들이 취해야 할 전문직다운 행동과 전문직 표준에 대해 배울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

긍정적인 롤 모델링을 방해하는 많은 요인들이 있다. 내부적으로 기관문화(institutional culture)가 관여되고 외부적으로는 보험제도와 관리의료의 영향이 크다. 대표적인 것이 성과와 진료 수입을 지나치게 요구하는 기관 문화다. 임상 교수가 학생에게 최선의 진료를 보여주는 데 필요한 충분한 성찰의 시간을 갖지 못하게 하고 효과적인 롤 모델링에 손상을 끼친다. 다른 하나는 모범적으로 되려고 애쓰는 사람들에게 재정적 혹은 비재정적 후원을 제공하지 않는 환경이다. 제대로 된 후원이 이루어지지 않고 그들의 진가가 드러나지 못하게 하는 행정과 부적절한 임상진료 강요와 대인 관계를 용인하는 문화 또한 효과적인 롤 모델링을 방해한다. 따라서 적절한 재정적인 뒷받침을 포함해서 좋은 롤모델링이 이루어지도록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좋은 롤모델링’ 환경조성 필요

좋은 의사를 만드는 일은 사회에 매우 큰 기여를 하는 것이고 기관의 위상과 격을 높이는 일이다. 어느 조직이든 지도자의 강력한 지지 없이는 발전적 변화를 일으키는 것이 어렵다. 교육기관도 마찬가지이다. 의과대학과 병원이 지향하는 바람직한 롤 모델링은 반드시 전문직업성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공식적으로 리더의 지지를 받아야만 가능한 일이다. 교육 기관은 재정과 이를 가르치기 위한 시간을 할당하고, 바람직한 롤모델링이 이루어지도록 공정하고 효과적인 방법을 채택해야 한다. 먼저 교수진의 수행 능력을 측정한 후 교수 개발을 통한 자기 계발의 기회 제공한다. 다음으로 기관 문화에 좋은 모범 사례를 지지해주고 전문직의 지식, 술기 그리고 가치들이 전달되는 방법에 대한 제약을 제거한다. 마지막으로 학생과 전공의가 전문직이 되는데 계속 악영향을 주는 사람과 접촉하지 않도록 막는 것 등이다.

외부적인 요인으로 잘못 설계된 의료제도가 긍정적인 롤모델 형성을 방해한다. 환자 진료행위를 단지 경제적 이득과 공리적으로 접근 하도록 강요하는 보험 제도와 관리의료가 의학 전문직업성을 훼손하고 있다. 진료전달체계의 붕괴로 의학 교육과 중증 환자를 담당해야 하는 상급 종합병원에서 개원가에서 보아야 할 외래 환자 진료에 치중을 하는 행태와 비윤리적인 진료를 유발시키는 심사 기준 들이다.이런 제도적 결함들은 의사들의 일방적인 희생만 강요하는 소위 ‘열정페이’ 문화를 만들고 건전한 롤모델 형성을 저해하고 있다. 환자에 대한 이타심과 측은지심을 축소시키고 환자의 안전을 우선 순위에 두기 힘들게 한다. 롤 모델링을 방해하는 외부 요소들을 바로잡고, 의사들의 일방적인 열정페이를 강요당하는 진료풍토를 바로잡아야 한다. 건전한 롤 모델이 형성되고 환자 안전과 의학 전문직업성이 구현되는 건전한 보상체계가 따라와 주어야 한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