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식약처‧질본 3곳 분산된 혈액관리 업무 통합 필요성 제기
10일, 김상희 의원 등 토론회 개최…정부, “논의 통한 지원체계 마련할 것” 

[의학신문·일간보사=황병우 기자] 정부가 지난 4월 ‘혈액관리 중장기 발전계획’을 발표한 가운데 향후 혈액관리의 방향은 국가 차원의 컨트롤타워를 통해 통합관리가 필요하다는데 전문가들이 입을 모았다.

국회 더불어민주당 김상희 의원과 ‘인구정책과 생활정치를 위한 위원 모임’은 10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국가혈액관리, 이대로 좋은가?’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중앙대학교 차영주 진단검사의학교실 교수는 발제를 통해 국가 혈액사업을 관리하기 위한 컨트롤타워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차 교수는 “정부는 국민이 필요로 할 때 안전한 혈액을 안정적으로 수혈 받을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하고 효과적으로 활용되도록 관리해야할 책임이 있다”며 “반면, 정부의 혈액사업 관리업무가 복지부, 질본, 식약처 등으로 분산돼 있고 혈액관리위원회가 비상설기구이기 때문에 상설로 활동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차 교수는 대한적십자사 혈액사업 위주에서 국가혈액관리체계로 전환해 국가주도의 새로운 관리체계를 만들 필요가 있다며 국가혈액안전관리원(가칭) 재단을 만들 것을 제안했다.

즉, 우리나라 혈액사업이 정부 부처에 분산돼 있어 하나의 기관에서 담당하기 어려운 만큼 국가혈액사업의 컨트롤 타워가 필요하다는 게 차 교수의 의견이다.

차 교수는 “향후 국가혈액안전관리원이 설립될 경우에는 상설기구로서 혈액관리위원회를 보좌하고 공급혈액원이 혈액 수급 및 질 관리 정책을 총괄 할 수 잇을 것“이라며 ”또한 의료기관과 연계해 수혈관리를 수행하고 미래수요 대비 지속 가능성 확보를 위한 혈액‧수혈 연구 지원이 가능 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전문가, 국가차원 혈액관리 공감대 형성…재단 설립은 ‘갸웃’

한편, 이날 토론회에서는 국가차원의 혈액관리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전문가들이 공감대를 형성했지만 차 교수의 국가혈액안전관리원 재단을 만드는 방향에 대해서는 실효성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국립암센터 김영우 교수는 “국가의 혈액관리 컨트롤 타워가 필요하다는 점에 대해서는 근본적으로 찬성하지만 이것을 재단이 진행해서는 성공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며 “안정적인 조직 운영이나 공익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국가기관이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또한 김 교수는 “현재 분산돼 잇는 국가혈액관리 정부 조직을 하나로 통합해 국가가 주도적으로 관리를 해야한다”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현재의 공급중심으로 이뤄진 혈액관리를 환자중심으로 만들 수 있는 법적근거를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대한적십자사 김명한 혈액관리본부장은 “다양한 아젠다에 대처하기 위해 국가 정부조직이 더 강한 관리를 하는 것은 꼭 필요한 시점”이라며 “이를 위해 정부조직이 3곳으로 분산된 것이 통합되고 모든 부처를 아우를 수 있는 국무총리실 산하의 국가기관 창설이 필요하다”고 말햇다.

다만, 김 본부장은 재단법인 형태로 컨트롤타워가 재단형태로 창설 될 시에는 운영과 관련돼 재정적 문제가 발생하고 정부 기관의 역할 정리가 없는데 따른 중복관리 체계가 될 수 있는 점을 우려했다.

◆ 정부, “논의의 장 마련하겠다”

보건복지부 박미라 생명윤리정책과장은 “종합계획수립 이후 혈액관리 사업에 대해 새로운 방향전환이 필요하다는 점을 고민하고 있다”며 “혈액관리 사업에 대한 추진체계는 기능적 보완이 필요한 것인지 제도적, 하드웨어적 보완이 필요한지에 대한 논의가 돼야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박 과장은 “이제 막 논의가 시작된 것으로 생각하고 적정한 협의체를 만들어서 의논화 작업을 이끌어가겠다”며 “어떻게 안전한 혈액을 안정적으로 적재적소에 공급할지에 대한 명제를 가지고 복지부가 지원할 수 있을지에 대해 같이 고민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