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병원, ‘G2P[4] 유전자형’ 증가 탓 관련 연구 논문 발표

[의학신문·일간보사=정윤식 기자] 장염을 유발하는 바이러스 중 가장 흔한 ‘로타바이러스’ 백신이 국내에 도입된 이후 유전자 변이 로타바이러스 발병이 오히려 더 증가한 것으로 확인돼 주목된다.

중앙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임인석 교수(사진 왼쪽)와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김원용 교수.

이 같은 사실은 중앙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임인석 교수팀과 중앙대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김원용 교수팀이 발표한 연구논문(Emergence of Human G2P[4] Rotaviruses in the Post-vaccination Era in South Korea: Footprints of Multiple Interspecies Reassortment Events)’에서 밝혀졌다. 이 논문은 ‘한국에서 로타바이러스 백신 접종 이후 G2P[4] 유전자형의 로타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요지다.

‘로타바이러스’는 5세 이하 영유아에게 발생하는 급성 위장염의 원인 가운데 하나로 구토, 발열, 물설사, 탈수증을 일으켜 세계보건기구(WHO)가 '최우선적으로 퇴치해야 할 전염성 질병'으로 지정한 바 있다.

국내에서는 로타바이러스 예방을 위해 2007년에 MSD의 로타텍과 2008년에 GSK의 로타릭스 등 2종의 경구용 생백신이 처음으로 도입된 이후 로타바이러스 발병률이 감소하고 있는 추세였다.

하지만 중앙대병원 교수팀이 지난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중앙대병원에서 로타바이러스 감염으로 내원한 환아들의 발생률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기존에는 ‘G1P[8] 유전자형’ 로타바이러스가 주요 유전자형을 차지했으나 연구기간 동안 ‘G2P[4] 유전자형’이 가장 주된 유전자형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11개의 바이러스 RNA 유전체 중 일부분이 소 또는 염소 등 동물바이러스 유전체와 재조합돼 있음을 발견한 것.

특히 이 바이러스들은 현재 사용 중인 백신과 항원결정기 상에서 17~24개의 아미노산 부위에 변이가 있음이 확인됐다.

이와 관련 연구팀은 “관찰된 로타바이러스 유전자형 변화는 인간과 동물 변종 간의 자연적 변이 또는 재조합으로 인해 발생한 것”이라며 “이번 발견이 로타바이러스 백신을 접종하고도 로타바이러스로 장염에 걸린 환아들의 원인 기전과 신·변종 로타바이러스 전염 원인을 규명하고 향후 효율적인 로타바이러스 백신 개발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세계적 국제학술 네이처(Nature)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 2018년 4월17일자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